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동향

아기마법사 아하라
아기마법사 아하라

기저효과와 반사효과에 관련된 경제상황과 관련하여

기준시점인 비교 대상 기점의 상황이 현재 상황과 너무 큰 차이가 있어 결과가 왜곡되는 현상인 기저효과는 왜 나타나는 것이며, 그 반대 현상이 반사효과인지도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질문하신 기저효과는 다음과 같은 이유로 나타나게 됩니다.

    경제지표를 평가하는 과정에서 기준 시점은 비교하는 시점에 따라서 상대적인 차이가 발생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서 비교하는 시점이 엄청난 경제 호황기였다면 그 해의 경제지표는 아무래도 줄어들어 보입니다.

    반대로 엄청난 불황기였다면 그 해의 경제지표는 좋아보이게 됩니다.

    기저 효과는 비교하는 시점에 따라 발생하는 것입니다.

    1명 평가
  • 기상 데이터의 경우 과거 몇 년 동안의 평균 기온을 비교할 때, 특정 해의 극단적인 기후 사건로 인해 과거와 현재의 평균 기온이 큰 차이를 보일 수 있습니다. 최근 제트기류문제로 중국이나 서울 경기북부지역에 -20도이상 떨어지는 기온을 보면 평년온도와 큰 차이가 남으로 테이터의 오류가 발생하지요.반사효과는 초기에 발생한 변화가 추가적인 변화를 유발하는 현상을 설명합니다

    1명 평가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기저효과는 비교하는 기준 시점 상황이 지금과 너무 달라 결과가 왜곡되는 걸 말합니다. 예로 작년에 경제가 매우 안 좋았는데 올해 조금 좋아져도 큰 변화처럼 보입니다.

    반사효과는 기저효과 반대로 이전에 너무 좋아서 현재가 상대적으로 안 좋아 보이는 현상입니다.

    1명 평가
  • 기저효과라고 하는 것은 경제지표를 평가할 때 기준과 비교시점의 상대적인 수치에 따라서 결과값이 큰 차이가 발생하는 것을 의미해요. 만약 경기가 나쁜 상황을 기준으로 잡고 현재시점을 비교하게 된다면 경제가 나아진 모습을 보이게 되지만 반대로 경기가 좋은 상황을 기준으로 잡고 현재시점을 비교하게 된다면 경제가 크게 위축된 모습을 보이게 되기 때문에 상대성이 큰 이론이라고 할 수 있어요

    이러한 기저효과를 산출할 때 기준 시점과 비교 시점의 상대적인 위치에 따라서 그 결괏값이 실제와 다르게 나타나는 현상을 바로 반대효과라고 해요

    1명 평가
  • 기저효과는 과거에 어떤 통계지수가 진짜 낮았기에, 즉 저점이었기에 현재에 통계지수가 높게 나오는 걸 말합니다. 즉 기저효과가 나타나는것은 기준되는 시점의 지표지수가 낮았기에 현재의 지표가 실제로는 높게 나오지 않지만 통계상으로 높게 나오는 걸 말합니다. 즉 통계지표에 있어 왜곡현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해당 기저효과를 통해 왜곡된 경제상황을 유리하게사용하므로 실제 경제상황과는 부합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1명 평가
  • 기저효과는 비교 대상의 기점이 현재 상황과 너무 다른 경우, 결과가 왜곡되는 현상을 가리킵니다. 예를 들어, 경제 지표를 분석할 때 기준 시점을 잘못 설정하면 현재의 경제 상황을 정확하게 파악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이는 데이터의 왜곡을 일으키고 잘못된 결론을 도출할 수 있습니다.

    한편, 반사효과는 어떤 요인이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라, 결과가 다시 원인에 영향을 주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긍정적인 경제 지표가 발표되면 소비자들의 신뢰가 상승하여 소비가 증가하고, 이로 인해 경제가 더욱 호전될 수 있습니다.

    1명 평가
  • 일단 한국 경제 경제 영어 사전에서 보면 기저효과와 반사 효과는 같은 음이라고 나와 있습니다

    둘 다 같은 의미라고 나와 있기 때문에 의미를 알아보자면 과거 특정 시점 수치가 너무 높거나 낮아서 현재 수치와 비교했을 때 비교가 왜곡되어 보이는 현상입니다

    예를 들어 작년에 반도체가 불황이었는데 올해는 약간 괜찮은 편입니다. 그런데 작년 실적 대비 올해 실적을 보면 엄청나게 상승한 것처럼 보입니다. 하지만 실제 올해 실적은 과거 수년간 평균으로 보면 그렇게 높은 편은 아닙니다

    1명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