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신경외과 이미지
신경외과건강상담
신경외과 이미지
신경외과건강상담
거창한하마222
거창한하마22222.12.28

두통이 하루종일 수개월 지속되면 어떻게 해야 되나요? 심각한건가요?

나이
42
성별
남성

작년 말 코로나 확진 후 갑자기 혈압이 170까지 간헐적으로 오르고 극도의 피로감이라는 후유증으로 피검사해보니 중성지방 수치가 불과 1개월만에 150에서 640으로 올랐고 간수치도 올랐더라구요. (확진 1달전 검진 기록 비교)

간과 고지혈약 2-3달 복용후 피수치는 정상으로 돌아왔고 혈압도 거의 정상입니다.

그런데 너무 피곤해서 잠들어버릴꺼 같은 두통 지끈거림이 계속 되네요.

올해 8월레 재확진되고 몸무게가 10키로 빠진 적 있는데 그때 1달 정도는 꽤 두통이 없었는데 최근 다시 이런 증상이 하루종일 지속 됩니다.

요즘엔 관자놀이 양쪽이 지끈거리다가 뒤통수쪽이 멍하다가.. 잠깐 아무렇지 않다 또 나타나고 거의 하루종일 계속되고 아침에 자고 일어나면 좀 낫습니다.

소화도 안되는거 같고 가끔은 멀미나 체했을때 증상처럼 어지럽네요.

(건강검진에서 위 만성위염 조직검사해보니 장상피화생이라고 했어요)


뭐가 문제일까요? 심각한걸까요?


제가 올해 초 3-6월 동안 서울 메이저 병원 신경과에서 뇌 mri mra 24시간 뇌파 혈류초음파 했는데 이상 없었고 심장ct도 이상 없구요..


수개월만에 뇌에 무슨 문제가 생길 수 있을까 싶러 다시 찍어야 하나 싶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12.29

    안녕하세요. 노동영 의사입니다.

    두통 때문에 고생이 많으시군요.

    대부분의 두통은 기질적인 원인이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오히려 기질적인 원인이 있다는 뜻은 머리 내부에 뭔가 문제가 있다는 뜻이므로 더욱 안좋은 경우가 됩니다.

    대부분의 두통이 긴장성 두통이나 편두통에 해당됩니다. 두 질환은 특별한 원인 없이 주기적으로 혹은 만성적으로 반복되며, 스트레스나 스트레스를 받는 특정 상황과 관련이 있는 경우도 많습니다.

    두 질환 모두 타이레놀 같은 진통제로 일시적인 증상을 호전을 보입니다. 간혹 매우 심하게 나타나는 경우도 있습니다.

    두통약을 먹으며 조절해보시고 만성적으로 지속되거나 통증이 너무 심하다면 신경과 진료를 받아보시길 추천드립니다.

    얼른 두통에서 벗어나셔서 일상을 찾으시길 바랄게요~


    답변이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좋아요와 답변추천 버튼은 아하 지식인 플랫폼을 더욱 질 좋은 답변으로 채워가는데 큰 힘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