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하얀도화지113
하얀도화지11323.04.25

북극과 남극 둘다 극지방인데 왜 남극의 기온이 더 낮은 걸까요?

안녕하세요

물론 둘 지역 다 매우 추운건 알고 있지만,

북극과 남극 둘다 극지방인데 왜 남극의 기온이 더 낮은 걸까요?

지리적 차이 때문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

    그것은 남극은 육지에 얼음음로 덮혀있기 때문입니다.

    남극이 땅으로 되어 있어 더 빨리 차가워 지는 거죠. 마치 내륙이 해안가보다 더 추운 것처럼 동일한 현상으로 생각하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준엽 과학전문가입니다.

    북극과 남극 모두 지구상에서 가장 차가운 지역으로, 매우 추운 기온을 자랑합니다. 그러나 남극이 더 추운 이유는 지리적 차이 때문이 아니라 여러가지 다른 요인 때문입니다.

    첫째, 남극의 대부분 지역은 해발고도가 높습니다. 해발고도가 높을수록 대기 중의 공기가 상승하면서 압력이 낮아지기 때문에 기온이 떨어집니다. 이에 반해 북극은 대체로 해발고도가 낮아서, 남극보다 기온이 높습니다.

    둘째, 남극에는 대륙성 빙하가 많이 분포합니다. 대륙성 빙하는 땅 위에 있는 빙하로, 빙하와 바닷물 사이의 차이로 인해 더 추운 기온이 유지됩니다. 그러나 북극은 바다 위에 떠있는 빙산과 빙판이 많이 분포하고 있어, 남극보다 기온이 상대적으로 높습니다.

    셋째, 남극에는 북극과 달리 강력한 서풍이 불어, 바다의 물과 공기가 계속해서 교류됩니다. 이로 인해 바다가 얼어붙는 속도가 느리고, 공기도 남극 주변에서 빠르게 순환하면서 대기 중의 열이 바다로 옮겨져서 기온이 유지됩니다. 그러나 북극은 서풍이 상대적으로 약하고, 바다와 대기 간의 교류도 적어서 남극보다 기온이 높습니다.

    따라서, 지리적 차이보다는 해발고도, 대륙성 빙하의 분포, 바다와 대기 간의 교류 등 여러가지 요인들이 결합하여 남극이 북극보다 더 추운 지역으로 유지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원형석 과학전문가입니다.

    남극은 남위 90도, 북극은 북위 90도입니다. 위도 0도인 적도에서 가장 멀리 위치하죠.


    지구의 기온은 태양복사에너지가 지구에 도달하고 이 에너지를 받은 지구가 지구복사에너지를 발산하는 과정에서 차이가 발생합니다. 지구의 자전축이 23.5도 기울어져 있음을 제외하고라도(지구의 공전과 기울어진 것 때문에 기온의 경우 계절차가 발생함) , 적도 부근은 태양에너지의 입사각이 제일 크기 때문에 단위면적당 에너지가 크고(기온이 높고), 남극과 북극의 극지방은 입사각이 작아서 단위면적당 에너지가 작습니다(기온이 낮음).

    일반적으로 남극이 북극보다 추운 이유를 설명할 때, 북극은 바다이고, 남극은 땅이기 때문에 남극이 더 춥다고 말하는 사람들이 있지요. 하지민 이것은 정확한 답이 아닙니다


    북극은 땅이 아닌 바다이고, 남극은 대륙(땅)이 있지요.

    보통 바다가 옆에 있으면 '해양성 기후'가 됩니다. 바다는 땅보다 쉽게 더워지거나 쉽게 차가워지지 않습니다. 그래서 바다가 옆에 있으면 일년의 기온 차이가 적습니다. 그러나 육지(땅)는 바다보다 쉽게 더워지고 쉽게 차가워지기 때문에 일년의 기온 차이가 크게 되지요.


    이렇게 바다가 멀리 있어서 일년의 기온 차이가 큰 기후를 '대륙성 기후'라고 합니다. '대륙성 기후'의 특징은 '해양성 기후'보다 여름에 더 덥고, 겨울에 더 춥다는 것 입니다.

    잘못 생각하면, 북극은 바다가 있으니 해양성 기후이고, 남극은 대륙이 있으니 대륙성 기후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그렇다고 한다면, 여름에는 남극이 북극보다 더 따듯해야 하는데 실제로는 여름에도 북극보다 남극이 더 춥습니다. 물론 겨울에도 북극보다 남극이 더 춥고요.

    이렇게 북극보다 남극이 더 추운 이유는 남극을 빙둘러서 차가운 '남극해류'가 흐르기 때문 입니다. 해류는, 같은 바다인데도 바다물이 흐르는 길이 있습니다. 이 바닷물의 길을 해류라고 합니다.

    '남극 해류'가 남극대륙을 빙 둘러서 흐르기 때문에 적도 지방에서 내려온 더운 바닷물이 남극 대륙을 따듯하게 데우는 것을 방해하게 됩니다. 그리고 남극대륙의 땅 위에 얼어있는 얼음들이 햇빛을 반사해서 남극대륙이 따듯해 지는 걸 방해하죠. 그래서 남극은 따듯해지기 어렵고 북극보다 더 춥게 된 것 입니다.

    북극은 겨울에 영하 20~30도 정도 되고, 남극은 겨울에 보통 영하 50도 이하로 내려간다고 합니다. 남극에서 최고로 추웟던 기온은 영하 89.2도를 기록한 적도 있다고 하더군요.


  • 안녕하세요. 김태경 과학전문가입니다.

    북극은 바다이기 때문에 태양열을 흡수하게 됩니다. 또한 따뜻한 해류의 영향을 받기도 한답니다! 하지만 남극은 대륙위에 얼음이 있는 형태이기 때문에 태양열을 저장하지 못하고 반사하게 되어 기온이 더 낮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 네, 남극의 남쪽은 강력한 바람과 대류가 육지에서 발생하여 북극과는 달리 대륙과 해양 간의 열 교환이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더욱 차가운 기온을 유지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재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남극은 대륙이고 북극은 바다입니다. 남극 대륙을 덮고 있는 얼음은 태양열의 90%를 반사합니다. 반면 북극 바닷물은 열을 흡수하고 저장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쉽게 따뜻해지거나 차가워지지 않습니다. 남극은 북극보다 더 극지방에 위치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