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역사

청렴한백로27
청렴한백로27

삼국시대 사람들은 서로 말이 통했나요??

영화를 보면 삼국시대사람들끼리 이야기를 하는 장면을 더러볼수있는데 삼국시대 사람들은 국경도 나뉘어있고 한데 서로 말이 통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Slow but steady
      Slow but steady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삼국 간에 의사소통이 문제가 없었다는 것은 여러가지 자료를 통해서 알 수 있습니다. 삼국 간에는 사신이 수시로 교환 되었다고 하지요. 과연 이들이 사용한 말과 글은 ‘한자’만으로 교신했을까요? <삼국사기>에 나타난 기록들을 보면 <삼국사기>는 삼국 간의 접촉을 기술하는 방법에서 차이를 보입니다. 우선 일반적으로 발견되는 표현은 파사 이사금 26년, ‘백제가 사신을 보내 화친을 청했다’, 고구려 동천왕 22년 ‘신라가 사신을 보내와 화친을 맺었다’ 등의 표현 입니다. 이 사례들은 이들이 어떤 ‘말’이나 ‘글’로 의사소통을 했는지 충분한 정보를 주지 않습니다. 그러면 다음과 같은 표현들을 보면 " 내물왕 18년 ‘백제왕이 글을 보내 말하기를[百濟王移書曰]’, ‘우리 왕이 ‘대답해 말하기를[答曰]’, 눌지왕 34년 ‘고구려 사자가 와서 말로 통고하기를[使來告曰]’, 고구려 장수왕 12년 신라의 사신을 ‘왕이 특별히 두텁게 위로했다.[王勞慰之特厚]’, 백제 개로왕 21년 고구려 승려 도림이 ‘문 앞에서 고하기를[詣王門告曰]’, ‘왕을 모시고 앉아 조용히 말하기를[從容曰]’ 등등에서 표현 방법을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이상의 기록들을 보면 삼국 간에 어느 정도 의사 표현이 자유 스러웠을 것이라 짐작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장수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기록으로 남아있는 시점부터 국어의 역사는 고대국어, 중세국어, 근대국어, 현대국어의 네 시기로 구분됩니다. 고대국어는 삼국시대부터 통일신라가 패망하기까지의 약 1,000년 동안의 국어를 지칭합니다다. 그러나 신라어를 제외하고는 아주 단편적인 기록밖에 남기지 않아 그 전반적인 모습은 아직 잘 밝혀져 있지 않습니다. 따라서 삼국 시대의 언어생활은 신라어로 대표됩니다. 고구려와 백제의 언어가 함께 쓰이고는 있지만 자료가 거의 남아있지 않아서 그 모습을 알기 힘들고, 그나마 자료가 많은 신라어를 통해 모습을 추측해 보는 것이라 합니다.


      추가로

      삼국시대의 언어는 중국어 즉 상고한어에 속하는 시대이긴 하였으나 상고한어의 말기 발전 형태인 후한한어(Eastern Han Chinese)를 거쳐 상고한어에서 위진남북조 초기 중고한어로 넘어가는 과도기에 있었다고 합니다.


      추천은 답변에 큰 힘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강요셉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우리나라의 삼국시대에도 조선시대에 세종대왕이 글을 만들기 전에도 말은 한국말을 사용했기 때문에 삼국시대에도 당연히 한국말을 사용해서 소통한것입니다 역사서 어디에도 한국말이아닌 다른 말이 사용되었다는 사실은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광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서로 다른 삼국 시대의 언어들이 통일 신라를 맞이하면서, 삼국의 언어들이 신라어로 흡수되기 시작합니다. 또한 한글이 만들어지기 전까지는 사람의 이름이나 땅, 이름등을 한자로 표기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