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기화학 작용기 개념에 대한 질문!!
유기화합물을 계열별로 분류가 가능하도록 만들어주는 구조적 특징을 작용기라고 배웠는데요.
작용기 중 싸이올(Thiol)을 예시로 들면요. Thiol 구조가 R-S-H 이렇게잖아요.
그럼 싸이올이란 작용기는 R-S-H 이거 자체가 싸이올 작용기인건가요? 아니면 -S-H 즉 알킬기에 연결된 S-H가 싸이올이라는 작용기인건가요?
처음엔 R-S-H 자체가 싸이올이란 작용기라고 이해했는데요. 뒤에 가니까 작용기는 화학반응이 일어나는 곳을 말한다고 하더라구요. 근데 알킬기인 R에서 화학반응이 일반적으로 일어나는게 아니잖아요. 그래서 작용기라는 개념이
"R-S-H 전체가 아니라 알킬기에 연결된 S-H가 싸이올이라는 작용기인건가?"라고 생각이 되더라구요.
싸이올 구조가 R-S-H인건 아는데 이 구조를 띤 화합물을 가리키면서 싸이올 작용기라고 한다면, 싸이올 작용기는 R-S-H 자체라고 생각을 해야하는건가요 알킬기에 연결되어있는 "S-H"라고 생각해야 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유기화학에서 작용기(group)의 개념은 화학 반응성을 결정하는 특정한 구조적 특징을 말합니다. 작용기는 보통 화합물 내에서 특정 화학 반응을 일으키는 부분을 지칭하며, 이 구조는 화합물의 화학적 성질과 반응성을 크게 좌우합니다.
싸이올 그룹은 유기 화합물에서 황 원자(S)가 수소 원자(H)와 직접 결합한 구조(-SH)를 가리킵니다. 여기서, 여기서, 'R-S-H'에서 'R'은 알킬 기(alkyl group) 또는 다른 유기기를 대표하고, '-S-H' 부분이 실제로 화학 반응에 관여하는 작용기입니다.
따라서, 싸이올 화합물에서 작용기 '-S-H'입니다. 이 부분이 싸이올의 특징적인 화학적 성질과 반응성 결정하며, R 그룹은 주로 이 작용기의 위치와 환경을 변화시켜 화합물의 성질을 조절하는 역할을 합니다. 예컨데, R 그룹이 전자를 끌어당기는 능력에 따라 싸이올의 산성도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싸이올 그룹의 '-SH' 부분은 다양한 화학 반응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예컨데, 이 -SH 그룹은 산화되어 다이설파이드 결합(-S-S-)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는 단백질 구조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또한, 싸이올은 금속 이온과 반응하여 금속 킬레이트를 형성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