벌이 사라지면 우리가 대체 할수 있을까요
벌이 전염병으로 죽고
이세상에 벌이 사라지면
스마트팜으로 대제하고 인공수정을 통해 식물을 길러낼수 있을까요
우리 스마트팜 기술은 어디까지 왔을까요
안녕하세요. 이형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벌이 죽게 되면 스마트팜을 하더라도 생태계를 유지하기가 어렵습니다. 하루 빨리 지구온난화 및 이상기후를 잡아서 생태계를 지켜야 됩니다.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벌이 전염병으로 인해 멸종한다면, 그것은 생태계와 식물 세계에 매우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입니다. 벌은 꽃가루 전파와 꽃의 수분 공급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작물의 수확량과 다양성에도 영향을 줍니다.
스마트팜은 현대 농업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기술 중 하나입니다. 스마트팜은 센서, 자동화, 데이터 분석 등을 활용하여 농작물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생산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인공수정을 통해 식물을 길러내는 기술은 현재 연구와 개발이 진행 중입니다. 인공 조명, 온도 및 습도 조절, 영양 공급 등을 통해 환경을 조절하여 작물의 성장을 촉진시킬 수 있습니다. 하지만 현재로서는 자연에서 벌과 같은 생태계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에 대한 완벽한 대체 수단은 아직 개발되지 않았습니다.
안녕하세요. 장대은 과학전문가입니다.
전 세계 식량의 90%를 차지하는 100대 농작물 중 70%가 꿀벌을 포함한 곤충의 수분활동에 의존해 생산됩니다.
만약 지구상의 모든 벌이 사라져 이 농작물을 중국 쓰촨성 마을의 농부들처럼 인공 수정을 하게 된다면, 모든 식자재 가격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게 됩니다.
농사에 투입되는 인건비가 늘어나는 것은 물론, 벌이 아닌 사람의 손으로 옮긴 꽃가루는 수정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을 가능성도 크기 때문이죠. 그렇기 때문에 꿀벌이 사라지면 인류의 생존도 큰 위협을 받습니다.
안녕하세요. 안상우 과학전문가입니다.
벌은 식물들이 인공 수정을 하게 만들어 열매 등을 맺을 수 있게 해 줍니다 벌이 없어지게 된다면 자연적으로 자라고 있는 여러 식물들의 수분이 부족 불가능하게 됨으로써 생태계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됩니다 농가에서 인위적으로 수분을 시키는 식물의 경우에는 큰 문제 없이 수분해서 열매를 맺을 수 있지만 자연계에 있는 식물들은 그렇지 못하기 때문에 자연적으로 수분을 하는 식물은 열매를 맺기 힘들 것으로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
스마트팜기술은 말그대로 농장작물에 대한 기술입니다.
농장정도에 수준은 가능할수도 있게지만 생태계 수준이나 지구의 수준에선 불가능할듯 합낟.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스마트팜을 운영하면서 더 많은 에너지를 소비하기때문에 장기적으로는 불리한면이 많습니다.
또한 농작물 뿐아니라 자연세계에존재하는 식물생태계가 지구환경의 지속성에 더 큰 영향을 미치기에, 스마트팜만으로는 지구의 공기순환체계를 커버할 수 없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
벌이 사라진다면 벌의 기능을 완전히 대체하기는 힘들것 같습니다. 벌의 생태계 보호에 힘을 써야 합니다.
벌의 기능은 꽃에 대한 수분전도, 작물의 수분전도 및 생산성, 생태계의 균형에 큰 역활을 하고 있죠.
스마트팜이 있다고 하나 그 큰 자연을 대체하기란 불가능하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