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rogermaan
rogermaan23.05.06

조선시대 용비어천가는 문학적으로 어떤 문학이라고 봐야 하나요

조선 시대 조선 건국의 정당성을 찬양하기 위해 만든 용비어천가는 문학적으로는 어떤 부류의 해당하는지 궁금합니다. 아무래도 시라고 봐야 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5.06

    안녕하세요. 이승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문학 조선 세종 27년(1445)에 정인지, 안지, 권제 등이 지어 세종 29년(1447)에 간행한 악장의 하나. 훈민정음으로 쓴 최초의 작품으로, 조선을 세우기까지 목조ㆍ익조ㆍ도조ㆍ환조ㆍ태조ㆍ태종의 사적(事跡)을 중국 고사(古事)에 비유하여 그 공덕을 기리어 지은 노래입니다. 각 사적의 기술에 앞서 우리말 노래를 먼저 싣고 그에 대한 한역시를 뒤에 붙였다. 125장. 10권 5책.

    출처: 네이버 국어사전 용비어천가


  •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용비어천가」는 조선 세종 때 선조인 목조에서 태종에 이르는 여섯 대의 행적을 노래한 서사시이다. 목판본이며 총 10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1445년에 노래의 본문과 한시가 만들어졌고, 역사적 사실을 한문으로 기록한 글이 1447년에 완성되어 간행으로 이어졌다. 본문과 그것을 풀이한 한시는 훈민정음이 반포되기 1년 전에 만들어졌으므로, 이 노래는 훈민정음으로 적힌 글로서는 가장 앞선 것이다. 「용비어천가」는 한글 창제에 의해 이루어진 우리 문학사상 최초의 국문시가로서, 그리고 악장의 독자적 형식을 개척한 첫 작품으로서 중요한 가치를 갖는다.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용비어천가


  • 안녕하세요. 신현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용비어천가는 조선 왕조를 예찬하고 있는 장대한 서사시에 가깝습니다. 거기에 악장이라는 형식을 빌어 노래를 띄운 축사에 가까운데요.

    이렇게 축사라던지 음악적인 특징 찬사를 늘어놓는 것들을 종합해볼때, 현재로 따지면 문학적인 시집이나 시가로 볼수 있지 않을까요?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용비어천가는 조선 세종 27년 정인지, 안지, 권제 등이 지어 세종 29년에 간행한 악장의 하나 입니다.

    훈민정음으로 쓴 최초의 작품으로 조선을 세우기까지 목조, 익조, 도조, 환조, 태조, 태종의 사적을 중국 고사에 비유해 그 공덕을 기리어 지은 노래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