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과에서 크랙 확인하는법은 뭐가 있나요?
치아 실금이나 크랙이 잘 발견되기 어렵다고 하는데 막 엄청 심하지 않으면 치아ct같은걸로도 발견 못하나요?
1.금 인레이 주변부에 실금 갔을때 실금만 파내고 인레이로 다시 가능한가요?
2.실금이나 크랙 났을때 신경치료와 크라운의 가능성이 높은이유가 뭔가요?
3. 금인레이 주변 실금 방치해도 되나요? (3~6개월마다 정기검진 다닌다는 가정하에)
안녕하세요. 김철진 치과의사입니다.
크랙의 경우 눈으로 보이는경우도 잇고 큐레이 라는 기구로 확인하는 방법도 잇지만, 일반적으로 증상 유무를 가지고 크랙 판단을 많이 합니다. 증상이 없다면 조심히 사용하시면 크게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안녕하세요. 안상우 치과의사입니다.
실금이 갔어도 크게 불편감이 없다면 굳이 치료를 할 필요는 없습니다 실금은 보통 눈으로 확인이 가능하면 방사선 사진에서는 보이지 않습니다.
방사선 사진에 보이는 파절선이 있다면 크게 파절된것이기 때문에 대부분 발치를 하게 됩니다.
치아에 금이 갔을 경우에는 금이 진행되는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일반적으로 크라운 치료를 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석민 치과의사입니다.
치아 실금이나 크랙이 잘 발견되기 어렵다고 하는데 막 엄청 심하지 않으면 치아ct같은걸로도 발견 못하나요? -> 미세한 금은 ct로 안보입니다
1.금 인레이 주변부에 실금 갔을때 실금만 파내고 인레이로 다시 가능한가요? -> 금인레이는 크랙을 잘 유발합니다 인레이가 가능하다해도 또 금이 갈 확률이 높아요 그래서 보통 크랙 라인 제거해보고 크라운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2.실금이나 크랙 났을때 신경치료와 크라운의 가능성이 높은이유가 뭔가요? -> 위 답변으로 설명될 것 같습니다 크라운과 별도로 통증 있으면 신경치료도 별도로 합니다
3. 금인레이 주변 실금 방치해도 되나요? (3~6개월마다 정기검진 다닌다는 가정하에)
-> 증상 없으면 그렇게 하시고, 딱딱한 음식 피하세요, 자주 검진 받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