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밝은큰고니27
밝은큰고니2723.11.26

일본에서 교회가 적은 이유가 무엇인가요?

일본에는 고유 민속 신앙을 지키는 경향이 있어서 신사가 많은데요. 그에 비해 서양에서 들어온 교회나 성당은 찾아보기가 어렵습니다. 그 이유는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11.26

    안녕하세요. 이승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일본의 토착신앙에 대한 숭배사상이 강하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일본 인구 1억2600만명 중에 가톨릭과 개신교를 다 합한 기독교인 인구는 100만명 남짓이다. 그중에 개신교 인구는 40만명 정도라고 합니다. 기독교를 강력히 제재하고 탄압하던 시절(전국시대)의 영향도 크지만 일본에서 기독교가 자리를 못 잡는 문화적이고 심층적인 이유는 기독교적 신앙의 근간인 '하늘' 정서가 약한 탓이라고 합니다.
    자신의 신앙이 기존의 그 어떤 것보다 상위에 있거나 더 보편적이라는 신념이 기독교적 선교의 동력인데 구체적 현실 너머에 대한 상상이 상당수 일본인에게는 낯설다고 합니다. 일본에는 한국(과 중국)에 비해 '천(天)' 관념이 약하다고 합니다. 그보다는 신도(神道)를 통해 전승되어 오는 구체적 정령 숭배 정서와 조상(선조) 숭배 전통이 더 강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16세기 가톨릭, 19세기 개항 이후 개신교가 전파되나 에도 막부와 일본 제국 당국의 박해, 토착 다신교로 인한 외래 유일신 종교를 받아들이기 어려워하는 특성과 일본인 특유의 권하는 것도 거절당하는 것도 창피스러워하는 문화로 선교가 힘들기 떄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현재 일본의 기독교인 수는 약 105만 명이라고 합니다. 이는 일본의 총인구 약 1억2천만 명 가운데 대략 1%에 해당하는 숫자입니다. 약 150년 동안 열심히 성실하게 전도 해 왔음에도 불구하고 기독교는 지금도 결정적으로 소수파 입니다.일본의 근대화는 정확하게 말하면 천황제에 근가한 종교국가, 신정정치의 형성이었ㅅㅂ니다. 기독교 선교사에 의해 설립된 각 교파의 교회가 학교 등과 함께 각지에 설립됐지만, 이런 이유로 기독교는 일반 대중과 가까이 있지 못했다고 합니다. 즉 천황이 신처럼 여겨 지다 보니 다른 종교가 생활에 들어갈 여지가 없었다는 것 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일본은 고유 신앙인 신도와 불교를 믿는 신자수가 많아서 기독교가 전파되지 못했습니다. 일본 인구 1억2천 5백만명 중 신도를 믿는 신도수가 1억1천만명이며 불교도가 9천만명이나 되기 때문에 기독교나 천주교 신도수는 5%도 되지 않습니다. 대부분 신도이면서 불교도인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신도는 우리나라의 샤머니즘 마나이즘 토테미즘 등을 버무려 놓은 것처럼 다양한 신들을 믿는 원시신앙적 요소입니다. 태양과 달과 같은 사물을 믿거나 영혼을 숭배하거나 동물이나 식물을 숭배하거나 심지어는 전쟁영웅을 숭배하기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