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경제동향

얄쌍한염소27
얄쌍한염소27

금리인하 시기 언제로 보시나요

현재 미국 지표들이 좋게 나오고 잇어서 이번년도에 금리인하 2번 한다는 애기에서 안할수도 잇다는 애기로 바뀌고 잇는데 관점들이 어떠신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금리인하시기에 대해서 얼마전까지만 하더라도 올해 중순 이후 하반기 시작부터 내다봤지만 지금 유가의 상승으로 인해서 미국의 인플레이션율이 재상승하고 있어 금리인하 시점은 올해 연말쯤이나 되어서야 한차례 정도를 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아무도 알 수 없습니다만

    미국을 납두고 우리나라가 선제적으로 내리기는 힘들 것으로 보이며

    우리나라와 같은 경우 빨라야 하반기이지 않을까 싶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병섭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국의 금리인하 시기를 예측하기는 쉽지 않지만, 현재로서는 2024년 하반기 이후가 될 가능성이 높아 보입니다.

    금리인하를 지연시킬 수 있는 요인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1. 고용지표 등 경기 회복세 지속

    최근 미국 고용, 소비 지표 등이 양호하게 나오면서 경기 연착륙 가능성이 높아졌습니다. 이럴 경우 금리인하 시기가 늦춰질 수 있습니다.

    2. 물가상승률 경계감 지속

    3월 미국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5%를 상회하는 등 아직 인플레이션 압력이 높은 상황입니다. 물가 안정 우선시될 것입니다.

    3. 금융시장 안정화 필요성

    금리인하가 너무 빨라질 경우 금융시장 변동성이 확대될 수 있어 연준은 점진적 접근을 취할 가능성이 큽니다.

    그러나 경기 둔화 리스크가 현실화되면 내년 초반부터라도 금리인하가 시작될 수 있습니다. 특히 고용시장 냉각화, 기업실적 부진 등의 신호가 나타날 경우 빠른 금리인하를 고려할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최근 지표를 고려할 때 금리인하는 2024년 하반기 이후로 예상되지만, 경기 상황에 따라 연준의 접근 속도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질문하신 금리 인하 시기에 대한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금리 인하 시기를 논하기 위해선 물가 상승이 둔화 되거나

    물가가 내려가는 모습을 보여야지 그 때야 금리 인하 이야기를 해볼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국의 경우 정황상 2분기 내에 1번 정도 금리를 인하하고 3분기와 4분기에 각각 한 번씩 베이비 스텝(0.25%) 수준으로 3차례 인하를 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관건은 물가 수준인데 하반기부터는 어느 정도 안정화 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