점심 먹고, 오후 1시에서 6시 사이에 한번은?
잠이 쏟아질듯이 너무 오는데 10분 정도 버티면 좀 괜찮아지더라고요. 이거 왜 그런 건가요? 또 이겨낼 수 있는 좋은 방법 있으면 알려주셨으면 좋겠네요. 이유가 궁금해요. 못참고 자면 나중에 밤에 잠 못자지 않나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코로나 카테고리에서 활동중인 전문의입니다.
식곤증으로 생각됩니다. 정상적인 반응이며 식사 후 혈액이 소화기관으로 많이 몰리고 포만감에 의해 졸릴 수 있습니다.
짧게 자는것은 밤에 자는 것에 큰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참조하시어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최병관 의사입니다.
식후에는 위장관이 소화를 위해 혈류와 산소등을 많이 필요로 하므로 상대적으로 졸음이 있을 수 있습니다. 일과중 짧은 낮잠 (약15-20분)은 수면 리듬을 해친다고 보기는 어려우며 오후에 작업 효율을 높여주는 효과도 있다고 알려져 있으므로 상황이 허락되는 경우 짧게 쉬시는 것도 나쁘지 않은 방법이라 생각됩니다.
안녕하세요.
정상적으로 수면 시간에 되면 인체에 멜라토닌이라는 물질이 분비되어 수면을 유도하게 되지만
멜라토는 자체는 강한 수면 유도를 갖고 있지는 않아 억지로 잠을 안자는 경우, 이보다는
글루코코르티코이드 등 스트레스 호르몬 분비가 증가하면서 각성 효과를 보게 됩니다.
수 시간 동안은 이로 인해 각성이 지속되지만 생리적으로 수면을 하지 않는 경우, 체내에
피로감으로 인해 스트레스 호르몬은 급격하게 줄어들면서 몸은 낮에 강제로 수면을 유도하게
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이호진 의사입니다.
평소 수면의 효율이 좋지 않아서일수 있습니다.
수면효율 높이는 법
식곤증이 와서 낮잠을 많이 주무시는 분들이 많은데, 수면패턴이 망가지는 지름길입니다.
낮잠은 10~20분정도만 주무시고 조금 힘드시더라도 깨어있으셔야 밤에 잠을 잘 들 수 있습니다.
커피, 녹차 등 카페인이 들어있는 음식의 양을 조절하셔야합니다. (개인차가 많아서 자신이 얼마나 마셨을때 잠이안오는지 체크를 하셔야합니다.
운동을 하셔야합니다.
적당한 운동으로 수면의 질을 높일 수 있으므로 하시는것이 좋습니다.
수면전에 밀가루 음식등의 소화가 잘 안되는음식을 드시는것은 좋지 않습니다.
안녕하세요. 안중구 소아과의사입니다.
식사직후의 식곤증의 경우 식후 반응성으로 저혈당이 있을 수 있습니다. 정상적으로 혈당을 조절하는 기전에 의해 식사직후 인슐린이 많이 분비되는데 이경우 당이 흡수되기 전 30분-1시간여 시간동안 저혈당으로 피로나 어지러움이 생길 수 있습니다. 또는 짠 음식을 먹은 경우에도 졸린증상이 동반되기도 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영곤 의사입니다.
식사 후에는 소화활동을 위해서 신체 내 부교감신경이 활성화 됩니다. 부교감신경은 조금 쉽게 표현하면 몸을 휴식을 취하는 것과 같은 상태로 만듭니다. 때문에 몸이 나른해지면서 졸림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바깥 바람을 쐬고 가볍게 스트레칭을 하면서 이겨내시는 것이 좋으며 말씀하신 대로 낮잠을 잔 후 밤의 수면에 영향이 있다면 낮에는 주무시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말씀하시는 증상은 식곤증 증상입니다. 식사 후에는 소화를 위해서 위장관계에 혈류가 몰리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뇌와 신체의 다른 부위로 가는 혈류가 줄어들기 때문에 식곤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식곤증을 예방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은 방법들이 있습니다:
1) 조금씩 자주 먹기 : 한 번에 많은 음식을 먹을 경우 식곤증이 심하게 올 수 있습니다.
2) 양질의 수면을 취하기 : 하루 8시간 이상의 충분한 숙면이 필요합니다.
3) 산책 하기 : 식사 후 산책을 하는 것은 피로를 덜어줄 수 있습니다.
4) 밝은 조명에 있기 : 밝은 빛에 노출되어 있으면 피로를 줄여줄 수 있습니다.
5) 반주를 하지 않기 : 음식과 함께 알코올을 섭취하면 피곤해질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서민석 의사입니다.
식후에 졸린 것은 대부분 마찬가지 아닐까 싶습니다. 특히 요즘처럼 실내가 더운 경우라면 더 졸립지요. 만약 밤에 충분한 수면을 취하는 분이라면 특별한 문제가 있다 보이지는 않습니다. 너무 졸리면 잠시 낮잠을 주무시는 것도 괜찮고 잠을 잘 수 없다면 창문을 좀 여시고 환기를 시키면서 스트레칭을 해보시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