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듬직한개구리90
듬직한개구리90

새로운 바이러스들이 생겨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새로운 바이러스들이 생겨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기존에 몰랐던 바이러스들을 발견하는 것인지 아니면 돌연변이나 신종 바이러스들이 계속 생겨날 수 밖에 없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새로운 바이러스들이 생겨나는 이유는 여러 가지 복합적인 요인에 의해 발생합니다. 새로운 바이러스가 나타나는 것은 기존 바이러스의 변이 또는 완전히 새로운 신종 바이러스의 출현으로 설명될 수 있으며, 인간과 자연환경의 상호작용, 바이러스의 생물학적 특성 등이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우선 유전자 돌연변이는 새로운 바이러스가 나타나는 주요한 이유 중 하나입니다. 바이러스는 유전물질인 RNA 또는 DNA로 구성되어 있는데, 특히 RNA 바이러스는 유전물질 복제 과정에서 오류가 자주 발생합니다. 이는 새로운 변종을 만들 가능성을 높입니다. 예를 들어,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나 코로나바이러스는 빠르게 돌연변이를 일으키기 때문에, 새로운 변종이 자주 나타날 수 있습니다. 돌연변이로 인해 바이러스는 기존의 백신이나 면역체계를 피할 수 있는 항원 변이를 일으켜 새로운 형태로 등장할 수 있는데요, 이런 변이는 때로는 더 전염성이 강하거나 더 치명적인 특성을 갖게 만들기도 합니다. 또한 많은 새로운 바이러스는 인수공통감염병에서 기인합니다. 이는 동물에서 인간으로 바이러스가 전파되는 경우로, 박쥐, 돼지, 새 등 다양한 동물들이 인간에게 바이러스를 옮길 수 있는 숙주가 됩니다. 인간의 활동 범위가 자연과 가까워지면서 동물 바이러스와의 접촉 기회가 늘어나고, 이를 통해 새로운 바이러스가 출현할 가능성이 커집니다.

  •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

    기존에 몰랐던 바이러스가 새로 발견되는 것과 돌연변이로 인해 생겨나는 것 둘 다 원인으로 볼 수 있습니다.

    현대에 인구가 늘어나고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사람들의 활동지역이 넓어졌고 그동안 발견되지 않았던 바이러스가 사람과 접촉할 가능성이 높아졌습니다. 또한 같은 이유로 동물들과의 접촉도 늘어나게 되어 동물과 인간 사이에서 바이러스가 전이될 확률도 늘어나게 되었습니다.

    또한 바이러스는 돌연변이가 잘 일어납니다. 바이러스는 유전물질로 RNA 혹은 DNA를 가집니다. 이 중 RNA를 유전물질로 사용하는 바이러스는 돌연변이가 훨씬 잘 일어납니다. DNA의 경우 이중나선으로 존재하여 복제시 오류가 나도 다른쪽 가닥을 확인하며 오류를 수정하기 쉽지만 RNA는 단일가닥으로 존재해 복제시 오류가 나면 수정되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바이러스가 체내에 침입한 후 다른 바이러스와 유전자를 교환할 수 있는 것도 새로운 바이러스가 생겨나는 이유 중 하나입니다. 서로 다른 바이러스가 동시에 같은 숙주에 감염되었을 때 유전자의 일부를 교환하고 새로운 형태의 바이러스가 생겨나기도 합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전문가입니다.

    새로운 바이러스들이 생겨나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첫째, 바이러스는 높은 변이율을 가지고 있어, 환경 변화나 숙주 생물의 면역 반응에 적응하기 위해 자주 돌연변이를 일으킵니다. 이러한 돌연변이는 기존 바이러스의 특성을 변화시켜 새로운 변종을 만들어낼 수 있습니다.

    둘째, 인간 활동, 특히 도시화, 농업, 기후 변화 등은 바이러스의 전파 경로를 변화시키고 새로운 숙주와의 접촉을 증가시킵니다. 예를 들어, 숲을 개발하거나 야생 동물과의 접촉이 증가하면, 기존에 인간에게 감염되지 않았던 바이러스가 전파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셋째, 글로벌화와 여행의 증가로 인해 바이러스가 빠르게 전 세계로 퍼질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었습니다. 이러한 요인들이 결합하여 기존에 몰랐던 바이러스가 발견되거나 새로운 신종 바이러스가 생겨나는 원인이 됩니다. 따라서 바이러스의 출현은 자연적인 진화 과정과 인간의 환경 변화가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라고 할 수 있습니다.

  • 새로운 바이러스가 계속해서 등장하는 이유는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습니다.

    첫번째는 기존에 알려지지 않았던 바이러스의 발견입니다.

    지구에는 아직 인간의 손길이 닿지 않은 곳이 많습니다. 특히 열대 우림이나 심해 등에는 다양한 생물종과 함께 새로운 바이러스들이 숨어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또한 야생 동물이나 가축에게 숨어 있던 바이러스가 인간에게 전염되는 경우도 많습니다. 코로나19 바이러스의 경우 박쥐를 숙주로 삼고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

    그리고 과거에는 검출하기 어려웠던 바이러스를 최첨단 기술을 통해 새롭게 발견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두번째는 바이러스의 변이입니다.

    바이러스는 매우 빠른 속도로 유전자 변이를 일으킵니다. 이러한 변이는 바이러스가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거나 숙주의 면역 체계를 회피하는 데 유리하게 작용할 수 있습니다. 특히 서로 다른 종류의 바이러스가 동시에 감염된 세포 내에서 유전 물질을 교환하여 새로운 형태의 바이러스를 만들어낼 수 있으며 바이러스가 다른 동물의 유전 물질을 획득하여 새로운 특성을 얻을 경우도 있습니다.

    즉, 새로운 바이러스가 등장하는 것은 단순히 발견되지 않았던 바이러스가 드러나는 것뿐만 아니라, 바이러스 자체가 끊임없이 변화하고 진화하기 때문입니다. 가까운 예로 최근 코로나19나 감기 바이러스가 매년 조금씩 달라져서 새로운 백신이 필요한 것과 같은 것이죠.

  •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일단 바이러스들은 변이 형태로도 계속 나옵니다. 또한, 무분별한 개발이 자연을 파괴하고 불활성 상태로 있던 바이러스들을 깨우는 겁니다. 감사합니다.

  • 새로운 바이러스의 출현은 주로 바이러스의 변이와 새로운 숙주와의 접촉 때문입니다. 바이러스는 유전물질을 복제하는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하기 쉽고, 이러한 오류가 누적되면 새로운 변종 바이러스가 탄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인간과 동물의 접촉이 늘어나면서 동물에게만 존재하던 바이러스가 인간에게 전파되어 새로운 질병을 일으킬 수도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온 전문가입니다.

    새로운 바이러스는 돌연변이, 자연 선택, 그리고 인간 활동(예를들자면..생태계 파괴나 동물과의 접촉 증가)으로 인해 계속 생겨납니다. 일부는 기존 바이러스의 변이로, 다른 일부는 새로운 환경에서 발생하는 신종 바이러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