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내과 이미지
내과의료상담
내과 이미지
내과의료상담
신관동메이슨그린우드
신관동메이슨그린우드20.08.27

의료민영화에 대해서 묻습니다......

고생하십니다. 요새 의료민영화때문에 많이 힘든거압니다. 지금 질문에 답해주시는분께 한번 말씀좀 여쭙겠습니다. 본인은 찬성하시나요 반대하시나요 저같은경우엔 지금은 중립입장입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효상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우리나라 의료는 이미 민영화 되어 있는 상태입니다.

    찬성 반대를 떠나서 국가가 주도하는 공공의료기관이나 공공의료인력이 전체의 의료의 10퍼센트도 되지 못합니다.

    민간의료기관과 의료인이 자신들의 돈과 대출받아서 의료기관을 운영하고 직원들의 월급을 주는 국가에서

    의료민영화를 반대한다는 것이 무슨의미가 있을까 싶습니다.

    의료민영화를 반대하려면 지금의 의료가 의료공영화되어 있어야하는데 그렇지 않기 때문에 의미가 없을것 같습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공공의료의 확대와 사람의 생명을 지키는 중증외상 산부인과 출산 중환자실 응급의료 의료감염등의 필수의료의 확대를

    국가가 주도적으로 재정을 투여해서 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국가는 국민의 생명과 건강을 지킬 의무가 있으니까요

    그런데 국가가 국가재정은 이런데 안쓰고 2,3인실 급여화 초음파 엠알아이 급여화 이런데 엉뚱하게 문재인케어등으로 재정투여하다가

    건강보험 재정 적자가 어마어마해진것은 아시죠?

    민간의료에 필수의료는 맡겨놓고 의료 공공화 나선다는 정부 믿어도 될까요?

    이국종 교수님은 왜 민간의료기관인 아주대병원에 있나요?

    외상외과는 국가에서 주도적으로 진행해야하는 것 아닌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