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정책

PSM_1011
PSM_1011

일본의 금리가 없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일본이라는 나라에서는 과거부터 지금까지 금리가 없다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요. 일본에는 금리가 없는 이유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일본과 같은 경우 장기적인 디플레이션이 너무나 심하였고 이에 따라서 경기를 살리기 위하여 제로금리 등을 유지하고 있다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경기를 살리기 위한 일본 정부의 정책인 것입니다.

  • 일본의 잃어버린 30년이라고 급부상했던 일본경제가 침체되면서 줄줄히 도산하고 경제가 망하게 되니 부자들을 제외하고는 밥벌이가 없었다고 합니다 현재 우리나라 자영업자 소상공인들이 연체률이 심각하다고 하는 것처럼 매출이 없다는 얘기죠. 금리를 내리면 사람들이 소비를 하기가 편해집니다. 지금 고금리 때문에 일반 가계부채들이 있는 사람들이 지출을 꺼리고 있는거처럼 말이죠 무역을 어느정도 내려놓고 내수에 집중하는 겁니다.

  • 안녕하세요 일본이 두달전에 기준금리를 인상해서 이제 제로금리는 아니긴 하지만 아직 거의 제로금리 수준으로 기준금리를 유지하고 있는건 맞습니다 일본은 장기간 경기침체로 인해서 물가상승률 또한 낮아서 과거 17년동안 제로금리를 유지해왔고 제로금리를 유지함으로써 경기부양을 위해 노력해왔던거였습니다

  • 일본은 현재 제로금리 정책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이는 지난 몇 십 년간 경기침체를 겪었기 때문에, 경기부양을 위하 중앙은행에서 낮은 금리를 유지하여 시중에 유동성을 지속적으로 공급하기 위함입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일본이 제로금리를 유지하는 이유가 엔화를 꾸준히 풀어서 경기를 부양하고, GDP 성장을 이루려는 이른바 '아베노믹스'에 근거하는데, 금리를 올려버리면 이러한 정책적 일관성이 깨지게 되므로 저금리 기조를 유지하고 있는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다행히도 이렇게 하고 있음에도 물가상승률이 높게 나오지를 않고 있어서 더더욱 이렇게 할 수 있는 상황입니다. 매우 특이한 케이스입니다.

  • 일본의 현재 기준금리를 0%로서 최근 -0.1%의 금리에서 0.1%를 인상하여 0%의 금리를 유지하고 있어요. 일본의 경우 이렇게 낮은 금리를 유지하고 있는 이유는 바로 국민의 내수시장이 침체되어 디플레이션이 발생하고 있어 화폐의 공급을 늘려 소비촉진을 시키기 위함이에요

  • ✅️ 일본의 경우 준 기축통화인 엔화를 보유한 나라로써, 사실상 제로금리를 유지했음에도 물가상승 압력을 받지 않은 것이 핵심입니다. 이렇게 되자 소위 '아베노믹스'라 불리는 경제정책에 근거해서 꾸준히 엔화를 찍어내 경제성장을 꾀하고, 이와 동시에 경기를 부양해 왔다고 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 금리는 있지만 매우 낮습니다

    • 그 이유는 일본은 경제가 침체되어 있는 상황으로 수십년간 경제가 정체되어 있고 월급이나

      물가도 고정되어 있습니다 이를 탈피하고자 경기 부양 차원으로 저금리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 그러나 일본 국민 특성상 대출을 받아 사업을 하거나 투자를 하지 않고 저축을 선호하기 때문에

      거의 0%대 금리를 준다고 하여도 은행에 저축만할 뿐입니다.

    • 그나마 다행인 것은 최근 글로벌 고금리 속에 상대적 저금리인 일본이 엔저현상으로 인하여

      물가도 상승하고 주가도 전고점을 돌파하여 경제가 다시 고개를 들려 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감사합니다.

  • 질문해주신 일본의 마이너스 금리에 대한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일본은 올 초까지 대략 17년 간이나 금리 인상 없이 마이너스 금리를 유지하였는데

    그 이유는 일본 정부가 양적완화 정책을 계속해서 펼치고 있었기 때문에 가능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