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경제용어 이미지
경제용어경제
경제용어 이미지
경제용어경제
무거운도라지볶음
무거운도라지볶음23.08.17

주류경제학과 행동경제학의 차이점.

경제학을 공부하다 이해안되는 게 있는데요 주류경제학과 행동경제학의 근본적인 차이점과 어떻게 다르게 분석할수 있는지에 대해서 알려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주류경제학과 행동경제학은 경제학의 두 가지 주요 분야입니다. 이들 간에는 몇 가지 중요한 차이점이 있습니다.

    1) 전제와 관점의 차이: 주류경제학은 경제 주체들이 합리적으로 행동하고 최적의 선택을 한다고 가정하는 전제에 기반을 두고 있습니다. 이에 반해, 행동경제학은 경제 주체들이 종종 심리적, 인지적 제약으로 인해 합리적이지 않은 선택을 할 수 있다고 인식합니다.

    2) 결정 메커니즘 강조: 주류경제학은 시장의 균형과 경쟁에 의한 자원 할당을 강조합니다. 반면 행동경제학은 개인의 행동과 선택 과정을 연구하며, 이로 인한 시장의 비합리적인 결과에 대해 관심을 둡니다.

    4) 정책 적용: 행동경제학은 비합리적인 행동을 이해하고 개선하기 위해 정책적 개입을 고려합니다. 이에 비해 주류경제학은 시장의 자율적인 원리에 의존하여 정책 개입을 줄이는 것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금융전문가 조유성 AFPK입니다.

    ✅️ 주류경제학(고전경제학)은 인간을 합리적이고 이성적인 존재인 '호모 이코노미쿠스'로 보지만, 행동경제학은 제한된 합리성을 지녔으면서 감정적인 존재인 '휴먼(감정인간)'으로 본다는 점에서 그 가정의 차이에 따른 과정, 결과의 차이가 존재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인간의 실제 행동을 심리학, 사회학, 생리학적 견지에서 바라보고 그로 인한 결과를 규명하려는 경제학 의 한 분야인데 행동경제학은 주류경제학의 ‘합리적인 인간’을 부정하는 데서 시작하지만, 그렇다고 인간을 비합리적 존재로 단정 짓는 것은 아입니다. 다만 온전히 합리적이라는 주장을 부정하고, 이를 증명하려는 것이 행동경제학의 입장 입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주류경제학은 개인이 한정된 자원에서 자신의 만족을

    극대화하는 결정을 내린다고 가정하고

    행동경제학은 주류경제학보다 합리성 가정에서 벗어나는

    관찰을 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행동경제학은 주류경제학의 ‘합리적인 인간’을 부정하는 데서 시작하지만, 그렇다고 인간을 비합리적 존재로 단정 짓는 것은 아니다. 다만 온전히 합리적이라는 주장을 부정하고, 이를 증명하려는 것이 행동경제학의 입장이다. 경제주체들이 제한적으로 합리적이며 때론 감정적으로 선택하는 경향이 있다고 주장한다.


  • 안녕하세요. 김지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주류경제학과 행동경제학의 가장 큰 차이점은 인간을 바라보는 관점입니다. 주류경제학은 합리적인 인간을 전제로 시장을 형성한다고 바라보았지만 행동경제학은 인간의 비합리성에 집중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