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순수한낙타174
순수한낙타17423.06.18

우리나라가 일본과 친하게 지내서 얻을 수 있는 경제적 효과가 있나요?

최근 일본과 관계 회복을 위해 정부가 노력하는 것 같습니다.

분명 뭔가 이득이 될 것이 있으니 그러는 것 같은데 우리나라가 일본과 친하게 지내서 얻을 수 있는 경제적 효과가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무역액은 일본과 미국을 합쳐야 중국수준이 됩니다

    외교는 여러나라와 두루두루 걸쳐야 좋은거지만 현재 행태는 조금 이상할정도입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반도체에 필요한 소부장을 일본으로부터 수입하여 사용하고 있었으나 지난 단절이후에 어느정도 자립도가 증가하였다 보니 일본과의 교역을 하는 것에 이점을 크게 느끼기는 힘들 것으로 보입니다. 게다가 우리나라의 경우 과거 만년 적자국이 일본이었다는 것을 감안한다면 일본과의 교역증가가 이점이 될지에 대해서는 미지수로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한국과 일본은 글로벌 복합위기 앞에서 서로 연대해 대응해야 한다"며 "안보는 물론 산업과 과학기술 분야에서 한·일 간 협력의 폭과 깊이를 계속 심화시켜 나가기를 기대한다.안보, 경제, 사회문화, 인적 교류를 포함한 모든 분야에서의 협력을 구체화


  • 안녕하세요. 손용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일본은 우리의 경ㅈㅇ자 이기도 하지만 동반자 이기도 합니다. 과거 일본은 반도체 시장에서 세계 1위를 차지한 바 있고 특히 일본은 DRAM 분야의 원조 미국을 제치고 세계 시장을 선도했지만, 지난 1990년대 후반 한국에 1위 자리를 내줬습니다. 여기에 TFT-LCD 분야에서도 한국 기업이 일본 기업을 제쳤다고 합니다. 조선 분야도 사정은 비슷한ㄷ 2000년대 이후 한국의 조선 산업은 전통적인 강자였던 일본을 제치고 장기간 1위를 차지해왔습니다. 일본 산업의 ‘자존심’이었던 조선 산업 1위 자리를 한국에 내준 것을 계기로 일본 내에서는 한국을 본격적인 ‘경쟁자’로 인식하기 시작했습니다. 일본의 핵심산업 경쟁력의 확보 및 활용, 반도체·배터리 등 주요 산업의 공급망 강화뿐만 아니라 IPEF 등을 통한 동맹국과의 국제협력을 추진해야 하는 시점 입니다. 급변하는 아태 통상질서와 경제안보 시대에서 한국과 일본이 실용적인 경제협력을 추진하여, 탈탄소·디지털 등에서 차세대 산업협력 관계를 강화해나가야 할 것 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국제관계 자체가 원래 정글이죠 우리나라는 특히 지정학적 위치가 강대국에 낑겨있어서 일본이 미워도 멀어져서는 안되는 나라입니다

    친하게 지내서 얻을수 있는 경제적효과보단 안친하게 지내면 실이 많은 나라인거 같네용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아무래도 일본과 통하여

    반도체 등에 있어서 산업적으로 더 강점을 보일 수 있으며

    일본과 같은 경우 기초소재 등에서 뛰어난 국가로 이것을

    우리가 수입하여 가공함으로써 수출하여 막대한 무역적 이득을

    거둘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