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생물·생명

조용한문어80
조용한문어80

인류 진화의 증거가 왜 사랑니인가요?

인류가 진화 했다는 증거 중 하나가 사랑니의 존재라고 하는데요.

현재 인류는 사랑니를 보통 빼는데 이게 왜 진화의 증거가 되는 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9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인류가 진화했다는 증거 중 하나로 사랑니의 존재가 언급되는 이유는 다양한 이유가 있습니다. 우선 사랑니는 인간의 구강 내에 위치한 이빨 중 하나로 주로 고기를 뜯어 먹는 동물들이 가지고 있는 이빨입니다. 이러한 사랑니의 존재는 인간이 고기를 먹는 데 적합하다는 것을 나타내는 증거입니다.

    그리고 인간의 조상들은 사랑니를 가지고 있었지만 시간이 지나며 이를 사용하지 않게 되었습니다. 이는 인간이 더 발달한 뇌를 가지고 있어 고기를 먹는 데에 더 적합한 방법을 찾아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를 통해 인간의 진화 과정에서 뇌의 발달이 중요한 역할을 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리고 사랑니는 인간의 구강 내에 위치한 이빨 중 가장 뒤쪽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이는 인간이 먹이를 씹는 데에는 큰 역할을 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인간이 더 발달한 손을 가지고 있어 먹이를 잘게 썰어 먹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를 통해 인간의 진화 과정에서 손의 발달이 중요한 역할을 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인간이 더 발달한 뇌와 손을 가지고 있어 더 발전한 방식으로 먹이를 섭취할 수 있게 되었다는 것을 나타내는 증거이기도 합니다. 이러한 이유들로 인해 사랑니는 인류 진화의 중요한 증거 중 하나로 여겨지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인류가 진화했다는 증거 중 하나가 사랑니의 존재인 이유는, 인간의 진화 과정에서 이전에는 대뇌가 작아서 식물 섬유질이 많이 들어간 단단한 식사를 먹어야 했기 때문에 이를 먹기 위해 큰 턱과 큰 이빨이 발달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러나 인류의 식습관이 변화함에 따라 사람들이 더 부드러운 음식을 먹게 되면서, 큰 이빨과 턱이 필요하지 않게 되었고 이에 따라 사랑니가 불필요해졌다고 생각됩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인류 진화의 증거 중 하나로 사랑니가 언급되는 이유는 다양한 이유가 있습니다. 사랑니는 이전에는 큰 턱을 가진 조상들이 식물을 먹을 때 사용했던 것으로 여겨지며, 현대인은 이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문제를 일으키는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사랑니는 인류 진화의 증거 중 하나로 언급되곤 합니다. 그러나 사랑니가 진화적으로 사라지는 과정은 아직 완전히 이해되지 않았으며, 다양한 이론과 연구가 진행 중에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충흔 과학전문가입니다.

    사람마다 가지는 특성으로 볼 수 있지만 진화론적 관점에서 봤을 때는 퇴화되고 있는 것이 명확함으로 인류학자들은 사랑니가 진화의 흔적이라고 생각합니다. 즉, 부드러운 음식을 먹기 시작하면서 점점 필요가 없어진 것입니다. 이렇듯 진화는 참 신비한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박성학 과학전문가입니다.

    원래 인간의 치아는 앞니 8개, 송곳니 4개, 어금니 16개, 사랑니 4개로 총 32개인데 현대인 중 다수는 28개, 혹은 그 이하만을 가지고 있을 뿐이라고 해요. 서랑니는 성인기가 되어서야 나는 것이 보통이지만, 요즘 들어서는 아예 사랑니가 나지 않는 사람도 많다고 합니다. 사람들은 이를 가리켜 현대인은 부드러운 음식을 주로 먹기 때문에 강한 힘을 쓸 필요가 없어진 턱의 크기가 줄어들었고, 이로 인해 구강 내에 이가 돋아날 공간이 부족해졌기에 일어난 현상이라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철승 과학전문가입니다.


    사랑니가


    인류 진화의 증거라고 보기에는


    여러가지 이유가 있습니다.


    사랑니는 현대인에게는 거의 기능하지 않기 때문에 퇴화된 기관으로 여겨집니다.


    과거에는 턱 크기가 더 크고 견과류나 잎사귀와 같은 단단한 음식을 씹는 데 사용되었지만


    현대인의 식단이 부드러워지면서 사랑니는 더 이상 필요하지 않게 되었습니다.


    인류 진화 과정에서 턱 크기가 작아지고 치아 수가 줄어들었습니다.


    과거에는 32개의 치아를 가지고 있었지만,


    현대인은 28개의 치아만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사랑니가 점차 사라지는 진화 과정의 일부로 볼 수 있습니다.


    사랑니가 없는 사람도 있으며, 이는 유전적 변이 때문입니다. 사랑니가 없는 것은 건강에 문제가 없으며


    오히려 치아 교정이나 충치 예방 측면에서 유리할 수 있습니다.




    사랑니는 퇴화된 기관이지만, 여전히 몇 가지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턱뼈를 지지하고 neighboring teeth 을 안정시키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어떤 경우에는 잃어버린 어금니를 대체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습니다.



    사랑니는 인류 진화 과정의 변화를 보여주는 증거로 볼 수 있지만


    퇴화된 기관이기 때문에 현대인에게는 큰 기능을 하지 않습니다.


    답변이 마음에 드셨다면 좋아요와 추천을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사랑니는 인류가 진화해오면서 더이상 필요가 없어지며 축소되고 흔적만 남은 조직중에 하나이기 때문입니다.
    잇몸안쪽으로 들어가서 매몰되므로 실제로 사용하지 않는 치아이기도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사랑니는 인류 진화 과정에서 점차 사라지는 기관으로, 과거 조상들이 식물성 식단을 섭취하며 턱뼈가 크고 튼튼했던 시절에는 필수적인 어금니 역할을 했습니다. 하지만 현대인의 식단 변화와 생활 방식 변화에 따라 턱뼈가 작아지면서 사랑니는 불필요한 기관으로 변했습니다. 따라서 사랑니를 빼는 것은 진화 과정에서 인간의 생물학적 변화에 맞춰 적응하는 행위이며, 이는 인간이 더 이상 과거 조상들처럼 강력한 턱뼈와 사랑니가 필요하지 않다는 진화적 증거로 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준희 과학전문가입니다.


    사랑니는 최초에는 생존을 위해 즉 음식을 먹기위해 필수였으나 불과 도구를 쓰면서 불필요하게되어 지금은 보통 퇴화되어 빼는거죠.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