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군가가 포지트로늄이 소멸되기 직전에도 이미 소멸된 상태여서 빛이 된다고 했는데 이게 맞는건가요?
누군가가 포지트로늄이 소멸되기 직전에도 이미 소멸된 상태여서 빛이 된다고 했는데 이게 맞는건가요? 완전한 빛이 되려면 완벽한 소멸상태가 되어야하는 것이 아닌건가요?
안녕하세요. 김철승 과학전문가입니다.
포지트로늄 소멸 과정은
흥미로운 양자 역학 현상이지만
언어 표현에 따라 혼란스러울 수 있습니다.
누군가가 소멸 직전에도 이미 소멸된
상태라고 말한 것은 정확하지 않습니다.
포지트로늄은 양전자와 전자가
결합하여 극히 짧은 시간
동안 존재하는 불안정한 입자입니다.
생성된 후 10^(-10)초 이내에 전자와 양전자가 다
시 만나 소멸하며 2개의
감마선(고에너지 빛)으로 에너지를 방출합니다.
포지트로늄은 소멸되기 전까지도
존재하며 전자와 양전자는 서로
궤도를 도는 상태를 유지합니다.
그러나 양자 역학적 불확실성 원리에 따라 정확한 위치와 운
동량을 동시에 알 수 없고 소멸
가능성이 항상 존재합니다.
소멸은 순간적인 사건이 아니라 시간에 따라 확률적으로
발생하는 과정입니다.
포지트로늄이 완전히 소멸되면
전자와 양전자는 더 이상 존재
하지 않고 2개의 감마선만 남게 됩니다.
이때 방출되는 빛의 에너지는
포지트로늄의 질량에 해당하
며 아인슈타인의 질량-에너지
등가 공식 E=mc^2에 따라 설명됩니다.
소멸 직전에도 이미 소멸된 상태라는 표현은
포지트로늄이 완전히
소멸되지 않은 상태에서
빛을 방출하는 사실과 모순됩니다.
포지트로늄은 소멸 가능성이 높은 불안정한
상태이지만 소멸되기 전까지는
존재하며 빛 방출과
같은 상호 작용을 할 수 있습니다.
포지트로늄은 소멸되기 전까지도 존재하며
빛 방출과 같은 상호 작용을 할 수 있습니다.
소멸은 시간에 따라 확률적으로 발생하는
과정이며 완전히 소멸되면 2개의 감마선으로
에너지를 방출합니다.
언어 표현에 있어 정확성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며 과학적 개념을 명확하게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답변이 마음에 드셨다면 좋아요와 추천을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포지트로늄이 소멸되기 직전에도 이미 소멸된 상태여서 빛이 된다는 것은 맞는 말이 아닙니다. 완전한 빛이 되기 위해서는 완벽한 소멸상태가 되어야 합니다. 포지트로늄은 양성자와 음성자가 서로 충돌하여 소멸되는 과정에서 빛이 발생합니다. 따라서 소멸되기 직전에는 아직 완전한 소멸상태가 아니기 때문에 빛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이러한 과정에서 발생하는 빛은 포지트로늄이 완전히 소멸된 후에야 완전한 빛이 될 수 있습니다. 이 점을 착안하여 포지트로늄이 소멸되기 직전에도 이미 소멸된 상태여서 빛이 된다는 주장은 잘못된 것으로 판단됩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