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주식·가상화폐

훌륭한표범265
훌륭한표범265

선물거래시 배율에 따른 청산금액 공식이 있나요?

선물거래시 배율을 2~100 까지 넣을 수 있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배율이 높아지면 청산 금액이 짧아지는걸로 알고 있는데 배율에 따른 청산금액 구하는 공식이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선물거래에서 배율(레버리지)과 청산금액 사이의 관계는 중요한 개념입니다. 배율이 높아질수록 청산 가능성이 높아지며, 청산금액은 더 작은 가격 변동에도 도달할 수 있습니다.

    청산금액을 구하는 정확한 공식은 거래소마다 다를 수 있지만, 일반적인 개념은 다음과 같습니다. 예를 들어, 비트코인 가격이 5만 달러일 때 5배 레버리지로 1 비트코인 포지션을 잡으면 증거금은 1만 달러입니다. 10배 레버리지라면 증거금은 5천 달러가 됩니다. 청산은 보통 증거금의 대부분을 잃었을 때 발생하므로, 가격이 각각 20%와 10% 하락하면 청산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실제 청산 과정은 더 복잡할 수 있습니다. 거래소는 유지 증거금 비율을 설정하여 이 비율 이하로 떨어지면 청산을 시작합니다. 또한, 시장의 변동성, 유동성, 그리고 거래소의 정책에 따라 실제 청산 가격은 이론적인 계산과 다를 수 있습니다. 따라서 높은 레버리지 거래를 할 때는 항상 주의가 필요하며, 자신의 위험 감수 능력을 고려하여 적절한 레버리지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보통 청산가를 구할 땐 '배수x수익률'이라 차트에서 비율을 보시고 금액을 맞추시면 됩니다.
    ex) 4배 : -25% 청산, 5배 : -20% 청산, 10배 : -10% 청산, 50배 : -2% 청산 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종우 경제전문가입니다.

    청산금액을 구하는 공식은 아주 간단합니다.

    예를 들어 100배율을 사용하면 1%의 변동성에도 청산가격에 다다릅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전문가입니다.

    선물거래에서 배율에 따른 청산 가격은 다음 공식을 사용하여 계산할 수 있습니다:

    • 청산 가격 (Long Position) = 평균 진입 가격 / [1 + (초기 마진율 - 유지 마진율)]

    • 청산 가격 (Short Position) = 평균 진입 가격 / [1 - (초기 마진율 - 유지 마진율)]

    초기 마진율은 1을 레버리지 배율로 나눈 값입니다. 배율이 높아질수록 청산 가격이 진입 가격에 더 가까워지며 손실이 발생할 수 있는 여유 범위가 줄어들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100배 레버리지를 사용할 경우 유지 마진율이 0.4%일 때 청산 가격이 훨씬 가까워지므로 위험이 높아집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전문가입니다.

    - 증거금은 거래를 시작하기 위해 필요한 최소 금액입니다.

    - 레버리지는 사용자가 선택한 배율입니다.

    레버리지가 높아질수록 청산 금액은 낮아지며, 이는 가격 변동에 대한 감수성을 증가시킵니다. 예를 들어, 레버리지가 10배일 경우, 가격이 10% 하락하면 청산될 수 있지만, 100배일 경우 1% 하락만으로도 청산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