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회충 경구감염이나 눈 만졌을 때 안구유충이행 확률이 높나요?
1.” 안구유충이행 알이 눈 만질 때 눈결막이나 각막에 감염 가능성도 있다. 특히 눈에 상처가 있거나 결막에 직접 접촉할 경우 감염 위험이 있다.“라고 했는데 확률낮죠? 대개 염증또는 충혈 등의 문제로 자각하겠죠?
2.“개회충 알이 눈을 만질 때 눈결막이나 각막에 감염될 가능성도 있다”했는데 백내장을 일으킬 가능성도 있나요? 있다면 드문 편인가요?
3.개회충알이 눈에 감염되어 실명될 확률도 있나요?
있다면 미미하죠? 미리 자각증세 있겠죠?
4.안구유충이행증(ocular larva migrans)이라 는 형태로 발생할 수도 있다고 했는데 자각 증세 있을거고 확률상 안구유충이행증 발생 빈도는 극히 드물죠??
5.인체는 개회충의 최종 숙주가 아니기 때문에 성충이 되기는 힘들죠? 유충 단계로 머물어 다양한 조직을 이동하면서 염증을 일으키는 경우 대체로 자각 증세 있겠죠?
6.개회충 일부는 인체내 오랜 기간 생존할 수 있다고 했는데 그럴 확률이 아주 높나요?
정확한 진단과 치료는 의사의 진료통해 확인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아래 내용은 참고만 해주세요.
개회충 알 감염 경로는 주로 흙이나 오염된 음식을 섭취했을 때 발생하며, 눈을 통해 감염될 가능성은 낮습니다만, 눈에 상처가 있다면 감염 위험이 다소 증가할 수 있어요. 초기에는 염증이나 충혈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백내장이나 실명으로 이어지는 경우는 매우 드뭅니다. 안구유충이행증 또한 발생 빈도가 낮으며, 대부분 자각 증상이 나타납니다. 개회충은 인체 내에서 성충으로 자라기 어렵고, 유충 단계에서 염증을 일으키는 경우 자각 증세가 있을 가능성이 큽니다.
개회충이 인체 내에 장기간 생존할 가능성은 있지만, 매우 드물며, 건강한 면역 체계를 가진 사람에게는 더욱 어렵습니다. 따라서 너무 걱정하지 마시고, 만약 불안하시다면 병원에 방문하여 정확한 진단을 받아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추가적으로 궁금한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다시 질문해주세요.
가능성은 극히 낮은 것이 맞으며, 감염 시에 자각 증상이 거의 대부분 동반되는 것이 맞습니다.
이론적으로 가능성이 없지는 않겠습니다만, 마찬가지로 극히 드물고 대부분은 염증 증상 위주로 나타납니다.
마찬가지로 가능성을 배제할 수는 없습니다. 그렇지만 대부분 증상이 동반되기 때문에 심각해지기 전에 치료가 진행되며 확률적으로 매우 낮습니다.
극히 드물며, 자각 증상 있을 것입니다.
그렇습니다.
가능하나 대부분 면역력에 의해 억제되기 때문에 흔치 않습니다. 장기간 생존을 할 확률이 높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