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호화로운호박벌145
호화로운호박벌14522.10.19

적조현상과 녹조현상은 왜 일어나는 걸까요?

바다에 적조현상과 녹조현상이 일어나는 것은 아는데, 왜 일어나는지 모르겠습니다.

환경의 문제인가요? 아니면 무슨 특별한 이유가 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강남선 과학전문가입니다.

    Q1: 적조현상과 녹조현상은 왜 일어나는 걸까요?

    A1: 제가 대학교 때 교수님을 통해 배웠던 지식을 공유해드립니다.

    적조와 녹조는 공통적으로 조류가 대번식을 통해서 수색을 변하된 현상이라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즉 대량 번식이 이루어졌다는 사실인데요

    대량 번식이 이루어지는데는 일반적으로 수온, 염분, 광량, 영양염류, 포식자 풍도(=밀도), 탁도, 해수의 흐름 등 매우 복합적으로

    작용되는데요

    그중 영향을 많이 주는 요인인 수온, 일조량, 영양염류 등이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 수온은 25도 이상을 유지하게 되고

    - 일조량이 많아지면서

    - 수중으로 영양분이 과다공급되는 조건이 녹조와 적조 발생 요인이라 볼 수 있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10.19

    적조는 바닷물이 플랑크톤의 이상증식으로 물이 붉게 변하는 현상으로 바닷물에 유기양분이 너무 많을경우 발생됩니다. 플랑크톤을 먹이로 하는 바닷물속 생물들의 개체수 감소나 급격한 온도상승으로 인한 미생물의 급격한증가 또는 바랑이 불지 않아 바닷물이 잘 섞이지 않을 경우 발생됩니다.


    녹조는 유속이 느린 하천이나 부영양화된 호수에서 식물성 플랑크톤인 녹조류가 과다 증식되어 물이 녹색으로 변한 현상 입니다. 녹조가 심해지면 물속에 햇빛이 들지 않고 용존산소량이 급격히 떨어져 물속생물들이 살수 없게 됩니다. 썩은 물이 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배진호 과학전문가입니다.

    녹조 적조는 수온이 높아지면 발생하기 쉬운데 지구온난화가 주된 원인입니다.

    이로인해 수온이 상승하고 일조량이 많아지면 수중으로 영양분이 과하게 공급되어 플랑크톤이 더 많이 생겨나는거죠


  • 해류가 활발히 이루어지지 않고 갇혀있게 되면 적조, 녹조 현상이 생기게 됩니다.

    적조생물이 물 순환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염분이나 영양염류에 의해 점점 퍼지게 됩니다.

    따라서 주로 태풍이 오게 되면 물의 순환이 이루어져 적조현상이 사라지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

    해수의 수온이 높아지고, 햇빛의 양이 많아지게 되면 바다 내의 영양분이 많아지게 됩니다. 그러면, 녹조류와 적조류, 플랑크톤의 증식이 활발해지면서 녹조, 적조 현상이 발생하는 것이죠. 보통 무더운 여름 8~10월 내에 녹조, 적조 현상이 잘 발생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