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고용·노동

임금·급여

고결한오소리119
고결한오소리119

해외 주재원 근무 중 법률 해석 갈등 도움 요청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해외 주재원 근무 중이나, 본사와 법률 해석 관련 갈등이 있어 질문 드립니다.

한달 내 귀국 예정으로, 무조건 액션 취하려 합니다. 그전에 질문이 좀 있습니다.

1. 퇴직금 : 연봉 계약을 한화 5천만원 (예) 으로 하고 매월 월급의 절반은 한국 계좌, 나머지 절반은 현지에서 현지 통화로 수령 하였습니다.(저의 요청) 이 경우 퇴직금 정산 관련 하여 계약서의 연봉 기준으로 진행 해야 하는 것이 아닌지요? (5천만원)

그리고 위의 급여 수령 방식에 있어, 제가 혹시라도 겪게 될 문제가 있나요?

2. 주 52시간 초과 근무 : 회사에서는 근무 시간을 08시 부터 17시 까지라고 하였으나, (면접 전 대표의 확인 메일이 있습니다) 현지 출근 해보니 08시 부터 17:30 까지가 정규 근무 시간, 초과 근무는 21:15 까지 거의 매일 지속 됐습니다. 추가 수당은 바라지도 않습니다. 주 52시간 초과 관련 신고 하고 싶은데 가능한가요? ( 직원 출퇴근 기록 장비에 제가 출근 및 퇴근 시 출퇴근 등록을 하는 것을 영상으로 찍어 놓았으며 출퇴근 시간 정보 파일 로우데이터로 보유하고 있습니다.)

3. 본사는 저에게 주재원이라는 이유로 현지 노동법이 강제하는 수당 및 복지 관련 사항을 제공 하지 못하게 하였습니다.

(대표의 현지법 적용을 부정하는 메일 수신 후 보유 중) 그렇다면 한국법 적용을 한다는 말인데 연차 촉진 제도 관련 저에게 잔여 연차 사용일 안내 및 사용 독려를 하지도 않았으며 수당 지급을 하지 않았습니다. 관련하여 신고나 고소를 생각 하고 있습니다. 사유가 되겠습니까?

4. 근로 계약서는 2장 작성 하였습니다. (저의 요청) 본사 계약서 1장, 현지 법인 계약서 1장

이것으로 인해 제가 혹시 겪게 될 문제가 있나요?

5. 위 질문에서 저촉 사항이 있어 제가 신고나 고소를 할 경우, 퇴사 후 진행하여도 무관한가요?

감사합니다.

좋은 하루 보내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