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에는 조선업 경기가 좋던데요 조선업도 경기를 많이 타는 산업인가요
우리나라는 특히나 조선업이 매우 발달한 나라중에 한나라 인데요 그런데 조선업
경기 같은 경우에는 경기를 많이 타나요 아니면 그렇게 타지 않는 산업인가요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조선업은 세계 해운 수요와 에너지 수급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대표적인 경기 민감 산업입니다. 특히 유가, 환율, 국제 정세에 따라 수주 변동이 크며 호황과 불황의 주기가 뚜렷합니다.
최근에는 LNG선, 친환경 선박 수요 증가로 반짝 호황을 누리고 있지만 지속성은 관건입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조선업은 경기 민감도가 매우 높은 산업으로, 전세계 경기 변동 및 국제 무역 상황에 큰 영향을 받습니다.
1. 선박 수주량 주기적 변동글로벌 경제 호황기에는 물동량 증가로 선박 수요가 급증하고, 불황기에는 수주량이 급감하는 주기적 사이클이 뚜렷함
대표적인 자본집약적 산업으로, 수주가 줄면 생산 및 투자 축소, 고용 위축 심화
2. 국제 무역 및 해운 업황 영향
조선업은 해운산업과 밀접, 국제 무역 활성화에 따라 선박 수요가 직접 결정
무역 분쟁, 보호무역주의 확산 등이 수요에 부정적 영향을 미침
3. 원자재 가격과 금융환경 변화 반영
철강 등 주요 원자재 가격 변동과 금융시장 상황에 민감
조선회사들의 자금 조달 여건 악화 시 건조 비용 상승, 경쟁력 저하 발생
4. 정책 및 환경 규제 영향
친환경·에너지 절감 선박 수요 증가 등 정책 변화에 대응 필요
신기술 투자 및 친환경 기술 도입이 기업별 성패를 좌우
1명 평가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조선업 얘기 나오면 좀 애매한 기분이 듭니다. 우리나라가 세계에서 손꼽히게 잘하는 산업인데도 상황 따라 업황이 들쭉날쭉하거든요. 경기가 좋을 땐 해외 발주가 몰려서 일감 걱정이 없는데, 반대로 글로벌 경기가 꺾이면 신조선 발주가 확 줄어드는 경우도 많습니다. 배 한 척 건조하려면 몇 년씩 걸리니까 지금 호황이라고 해도 나중에 이어질지는 또 따로 봐야 하는 거라 불안하기도 합니다. 솔직히 경기 영향을 안 받는 산업은 거의 없지만 조선업은 특히 세계 무역 흐름이나 해상 운송 수요에 민감하게 움직입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과거부터 조선업은 경기 순환 사이클을 타는 대표적인 산업입니다. 경기 호황인 시기와 불황인 시기가 명확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조선업에서도 경기를 많이 탑니다. 경기를 타기도 하지만, 주변에서의 조선 선박 업 등을 통해 컨테이너 물량의 비용에 따른 실적의 상승 및 저하가 있습니다. 가령 2010년대에 중국의 조선업이 크게 부상한 것이 한국의 컨테이너 선적 금액과 비교하여 중국의 선적이 보다 가격적인 메리트가 있어서 한국의 조선사업이 크게 후퇴한 적이 있습니다. 따라서 경기의 영향도 있겠지만, 그 외적인 영향이 클 것이라 생각합니다.
1명 평가아무래도 조선업도 경기를 어느정도 탄다고 보셔도 됩니다. 선박의 경우에 경기가 활발하고 무역이 많이 이루어질 때 수요가 많아지기 때문입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채지훈 경제전문가입니다.
맞습니다.조선업은 대표적인 경기에 민감한 산업중에 하나입니다.장기적 유가하락이면 일감부종으로 어려운 상황에 처하지만 유가상승시 발주가 많이 늘어납니다.이런 사이클형태의 구조속에서도 한국인 기술경쟁력이 우수해 잘 헤쳐나왔다고 봅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조선업도 경기를 많이 타나에 대한 내용입니다.
예, 조선업 역시 경제의 경기를 타게 됩니다.
즉, 무역량이 늘어야지 컨테이너선도 많이 수요가 생기는데
무역량이 줄면 조선업의 수요가 주는 등 경기를 타게 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박창변 경제전문가입니다.
조선업은 반도체 산업과 비슷하게 경기 싸이클을 타는 산업입니다.
특히 조선업은 침체기에는 10년 이상 가기도 합니다.
1명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