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직적 물가지수' 와 '신축적 물가지수' 란?
소비자 물가지수 중에 경직적 물가지수라는 것과 신축적 물가지수라는 것이 있는데요. 이 두 지수는 어떤 성격의 물가지수를 말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김종완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
'경직적 물가지수'와 '신축적 물가지수'는 인플레이션 지표 중 하나로, 물가 상승률을 나타내는 지수입니다.
경직적 물가지수는 고정된 가격을 가지는 상품과 서비스들의 변동을 측정하는 지수로, 주로 소비자물가지수(CPI)와 같은 일반적인 물가지수가 해당됩니다. 이는 일상적으로 구매하는 생필품이나 서비스 등 가격변동이 적은 제품을 대상으로 합니다.
반면에 신축적 물가지수는 가격이 변동성이 큰 상품과 서비스를 대상으로 측정합니다. 예를 들어 식료품, 에너지, 건강보험료와 같이 가격이 자주 변동하는 제품이나 서비스가 해당됩니다.
경직적 물가지수와 신축적 물가지수를 모두 고려하여 산출되는 총 물가지수는 경기에 따라 변동하며, 이를 통해 인플레이션을 측정합니다. 이러한 지표는 중앙은행이나 정부에서 경제정책을 수립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경직적물가지수라는 것은 해당 제품의 가격들이 '경직적으로 움직이는 품목들을 대상'으로 만든 물가지수이며, 이런 경직적 제품들로는 공공서비스, 전기, 수도, 급식가격등이 해당됩니다. 그리고 신축적물가지수라는 것은 해당 제품의 가격들이 '신축적으로 움직이는 품목을 대상'으로 만든 물가지수를 뜻하는 단어입니다.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소비자물가지수에는 강직물가지수와 유연물가지수 두 가지 유형이 있습니다. 강직물가지수는 상품의 가격이나 수요 등의 변화에 대한 반응이 둔감한 지수를 의미하며, 주로 식료품이나 통신 등의 서비스 부문에서 사용됩니다. 반면, 유연물가지수는 가격이나 수요 등의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지수를 의미하며, 주로 내구재나 환율 등의 부문에서 사용됩니다.
이러한 물가지수는 소비자물가지수의 구성요소로 사용되어, 소비자물가상승률을 계산하는 데에 이용됩니다. 즉, 소비자가 구매하는 상품과 서비스의 가격을 측정하여, 물가상승률을 파악하는 데 사용되는 것입니다. 이 중에서도 상품의 특성에 따라 둔감하게 반응하는 상품과 민감하게 반응하는 상품을 나누어서 측정하는 것이 강직물가지수와 유연물가지수입니다.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소비자 물가지수 중 경직적 물가지수와 신축적 물가지수는 소비자 물가상승률을 측정하는 두 가지 지수 중의 하나로서, 그 성격이 다릅니다.
먼저, 경직적 물가지수는 소비자 물가지수 중 단일가격이 상승했을 때 그에 따라 전반적인 물가가 상승하는 경향을 나타내는 지수입니다. 예를 들어, 석유 가격이 상승하면 석유 가격에 대한 경직적 지수는 상승하는 반면 전반적인 물가지수는 그에 따라 상승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즉, 경직적 물가지수는 물가가 상승하는 데 상대적으로 더 민감한 제품의 가격 변화를 반영합니다.
반면, 신축적 물가지수는 경직적 물가지수와 달리 전반적인 물가지수의 상승을 반영하는 지수입니다. 예를 들어, 경기 회복으로 인한 경제 활동 증가 등으로 인한 수요 증가로 인해 전반적인 물가가 상승하면 신축적 물가지수는 그에 따라 상승합니다. 즉, 신축적 물가지수는 전반적인 물가지수의 상승과 관련이 깊은 지수입니다.
따라서, 경직적 물가지수와 신축적 물가지수는 물가 상승률을 측정하는 두 가지 지수 중의 하나로, 그 성격이 다릅니다. 경직적 물가지수는 특정 제품 가격 상승에 더 민감하게 반응하고, 신축적 물가지수는 전반적인 물가 상승에 더 민감하게 반응합니다.
안녕하세요. 손용준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 가격이 경직적으로 움직이는 품목과 신축적으로 움직이는 품목이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각각을 경직적 물가와 신축적 물가로 분류하는데 . 신축적 물가의 경우에는 경직적 물가와 비교할 때, 경제상황에 대한 정보가 더 많이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고 하지요. 예컨대 신축적 물가는 당기의 경제상황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으로 나타납니다. 이 역시 상대적으로 가격 변경이 용이한 경제주체의 경우 경제여건 변화에 대응하여 신속하게 가격을 조정할 것이라는 이론적 예측과 부합하는 결과라고 해석됩니다. 주목할 점은 신축적 물가, 특히 석유류 가격을 제외한 신축적 물가가 최근 들어 뚜렷한 반등세를 보이고 있다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