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내과

완벽히대담한쫄면
완벽히대담한쫄면

건강검진문의(크레아티닌인산효소)

성별
남성
나이대
29

건강검진에서 심근검사를했는데 작년과제작년은정상수치였는데 이번에는377로 높게나왔습니다.

크레아티닌인산효소가무엇인지 높으면어떻게치료를해야될까요?찾아보니깐 근육문제있면 높을수도있다던데 몇일째 대흉근쪽이랑어깨쪽이무겁고뭉처있는데그거때문일까요?

그리고직접빌리루빈수친도 0.31이던데 괜찮은건가요?(23년도에쓸개제거술했음)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영민 의사입니다.

    말씀하신 심근검사에서는 크레아니틴인산효소가 아닌 크레아틴인산효소를 말씀하시는 것으로 생각됩니다. 보통 크레아틴인산효소는 근육 안에 많이 함유되어 있는 효소의 일종으로, 근육이 손상을 입을 시에 혈액 속에 방출되어 혈중 수치가 올라가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정상적으로도 운동을 많이 하시거나 최근에 과로를 한 경우에도 정상치보다 높게 나올 수 있습니다. 이를 심장 관련 질환과 감별하기 위해 심근검사는 단순히 크레아틴 인산효소만 보지 않고 다른 여러 혈중 수치를 종합하여 판정을 내리게 됩니다.

    말씀하신 것처럼 대흉근이나 어깨 쪽이 무겁다면 그 주변부의 근육 손상으로 나타난 혈액 수치일 수 있겠으며, 추후에 추적검사를 통해 이 수치가 점진적으로 상승하는 양상이라면 횡문근융해증과 같은 다른 원인을 확인하기 위해서 검사를 받으신 병원에서 정밀 진찰을 받아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직접 빌리루빈 수치의 경우 현재 정상적인 범주인 것으로 보여 크게 문제가 되지는 않을 것으로 사료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아하의 의료상담 전문가 의사 김민성입니다. 질문해주신 내용 잘 읽어보았습니다.

    크레아티닌인산효소(Creatine Kinase, CK)는 주로 근육의 손상이나 손실 시 혈액 내에 증가하는 효소로, 근육질환이나 심장질환 등과 관련이 있을 수 있습니다. CK 수치가 높게 측정된 것은 여러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지만, 근육의 피로나 부상, 염증 등으로 인해 증가할 수 있습니다. 질문자분께서 말씀하신 것처럼 대흉근과 어깨 부위에 무거움이나 근육의 뭉침을 느끼고 계시다면, 이는 CK 수치 증가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이런 증상이 지속되거나 심해진다면 병원을 방문해 추가적인 검사를 받아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직접 빌리루빈 수치도 문의 주셨는데, 일반적으로 수치가 0.1에서 1.2mg/dL 사이인 경우 정상 범위로 간주됩니다. 질문자분의 수치인 0.31은 정상 범위에 속하므로 크게 걱정하지 않으셔도 될 것 같습니다. 과거에 쓸개 제거술을 받으셨더라도, 현재 수치가 정상이라면 큰 문제가 없다고 볼 수 있습니다. 다만, 지속적인 체중 변화나 소화 문제 등 다른 증상이 있다면 더 많은 정보를 바탕으로 상담을 받아보시는 것도 고려해 보시길 권장합니다.

    저의 답변이 궁금증 해결에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1명 평가
  • 크레아티닌인한효소(CPK) 수치는 쉽게 이야기를 하자면 근육 세포가 깨지면서 혈액 속에 증가하여 피 검사를 하였을 때 높게 측정되는 수치입니다. 무리하게 근육을 사용하고 활동을 하였다면 자연스럽게 상승할 수 있으며 377 정도면 심각하게 높은 것은 아니기 때문에 경과를 지켜보아도 무방할 것으로 사료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