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자산관리

편안한돌고래11
편안한돌고래11

엔화 약세에 대해서 궁금한 점을 물어볼게요.

성별
여성
나이대
30
직업
직장인
근로형태
근로소득자(4대보험)
결혼여부
미혼
월 수입 현황
300

안녕하세요.

한 달 전에 일본 여행을 갔을 때 880~890원 정도였는데 오늘 860까지 떨어졌다는 기사를 봤습니다.

엔화가 계속 떨어지는 이유와

엔화가 떨어짐에 따라 우리나라에는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 엔저가 지속되는 이유는 일본의 금리가 글로벌 금리 대비 상대적으로 저금리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 따라서 엔화가 다시 상승하기 위해서는 일본이 기준금리를 올리거나 글로벌 기준금리가 인하되어야 합니다.

    • 현재는 두 가지 상황 모두 언제부터 시작될지 알 수가 없는 상황이기 때문에 언제까지 지속될지는 알 수 없습니다

    • 엔저가 지속될수록 우리나라 수출기업은 상대적으로 피해를 볼 수 있습니다 일본의 수출기업이 저가공세에

      나설 수 있기 때문입니다.

    감사합니다.

  • 엔화가 약세인 장기적인 이유는 일본의 잃어버린 30년 등 장기침체 때문입니다. 하지만 최근의 엔화 약세를 이유를 찾자면 미국과 금리 격차 때문입니다. 미국은 5.5%로 기준금리가 매우 높은 상황인데 일본은 여전히 낮은 금리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이런 상황이라면 일본에 있던 자금이 미국으로 빠져나가게 되고 자본 유출이 일어나면 일본의 화폐 가치가 더욱 떨어집니다. 그래서 엔화가 이렇게 된 것입니다

  • 엔화가 약세인 이유는 엔화의 가치가 떨어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가치가 떨어지는 이유는 미국의 금리와 일본의 금리차이가 5% 이상 나기 때문입니다. 우리나라와도 3%이상 나고 있습니다. 결국 높은 금리차이는 엔화보다는 달러를, 또는 원화의 가치를 높게 합니다. (돈의 흐름상 이자를 많이 주는 달러 또는 원화예금을 선호함)

    그런데 문제는 지금의 엔화약세는 과도하다는 점입니다. 일본은행이 이렇게 까지 엔화의 가치하락을 방치하는 것은 이유가 있습니다. 엔화의 약세는 수출하는 일본의 입장에서는 유리하기 때문입니다. 우리나라의 입장에서 일본과 경제하는 중공업, 자동차 등의 수출에서 경쟁력이 떨어지게 됩니다.

  • 엔화가 많이 떨어짐에 따라서 이에 따라서 일본과의 수출 등에 있어서 우리나라가 불리한 포지션을 가질 염려가 있는 등 하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 질문해주신 엔화 약세에 대한 내용입니다.

    엔화 약세는 미국과 일본의 기준 금리 차이가 매우 크기 때문에

    그것에서 나오는 엔화 약세라고 합니다.

    엔화 약세가 장기간 유지되면서

    한국 입장에서 수출이 불리해지고 관광 적자도 늘어나게 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엔화 약세의 주요 원인은 미국과 일본의 금리 차이입니다.

    최근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는 물가 상승 억제를 위해 적극적으로 금리를 인상하고 있습니다.

    반면 일본은행은 아직 저금리 정책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금리 차이는 투자자들의 자금을 미국 달러 자산으로 유도하고, 엔화 매도를 촉발하는 요인이 되고 있습니다.

    전반적으로 엔화 약세는 한국 경제에 긍정적 영향과 부정적 영향이 공존합니다.

    단기적으로는 수출 증대와 관광객 증가를 통한 경제 성장 효과가 기대되지만,

    장기적으로는 수입 물가 상승과 금융시장 변동성 증가로 이어질 수 있는 위험도 존재합니다.

    감사합니다.

  • 기본적으로 미국의 금리와 전세계 각국의 금리는 높은데 일본의 금리는 너무나 낮아서 금리가 높은 곳으로 돈이 빠져가기 때문에 엔화는 약세입니다. 일본이 금리를 인상하거나 미국이 금리를 인하해야 엔화가 강세로 돌아설텐데 일본은 정부부채가 너무나 높아 금리를 좀만 올려도 이자부담이 너무 높아지고 미국은 금리를 인하하기에는 인플레이션이 아직 높고 미국 경제가 너무나 좋습니다. 이점을 알고 있는 글로벌 투기 세력들이 엔화약세에 계속 배팅하고 있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엔저가 오래 지속되고 있는 이유는 일본 중앙은행은 일본은행만 미국 연준, 한국은행 등과 다르게 '통화완화' 즉, 금리를 낮게 유지하고 있기 때문이며, 금리 = 돈의 값이기 때문에 일본 엔화가 계속 싼 것입니다. 다만, 우리나라 입장에서 일본은 '수출국'이 아니라 '수입국'이기 때문에 원/엔 환율이 낮아야 수입에 유리하므로 현재의 엔저현상은 수입물대를 낮추는 효과가 있습니다. 다만 일본과 경쟁하는 수출품은 경쟁력이 떨어지게 됩니다.

  • 엔화약세의 경우 기본적으로 일본중앙은행의 저금리 정책으로 인해 엔화의 가치가 크게 하락하고 있습니다. 엔화의 하락은 우리나라와 수출상품이 겹치는 일본제품이ㅡ 가격경쟁력을 높여주고 관광수지 적자를 일으켜 우리나라 경제에는 불리한점이 있습니다. 단, 중간재의 경우 일본제품을 수입하는 국가는 긍정적인 요소도 존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일본 엔화의 약세는 일본 기업들의 수출품에 대한 가격 경쟁력 강화효과를 불러오게 됩니다. 이는 세계시장에서 한국 수출품들이 일본제품에 비해 상대적으로 해당 경쟁력이 약화되는 상황이 발생하겠습니다.

    또한 많은 국내여행객들이 물가가 저렴한 일본으로 많이 유출되면서 국내 관광지들의 어려움이 과중될 수 있겠습니다.(예를 들어 제주도 등)

  • ✅️ 엔화가 계속 떨어지는 이유는 일본은행이 섣부르게 긴축정책으로 전환하지 않을 것이라 시장이 예측해서 그런 게 크고, 우리나라는 일본에서 상대적으로 저렴한 가격에 부품, 재료 등을 수입해 올 수 있다는 점이 장점으로 꼽힙니다.

  • 엔화의 하락은 우리나라의 경제에 영향을 미칠 수 밖에 없습니다.

    엔화가 세계적으로 가치가 떨어 짐으로써 일본의 제품 가격이 하락하고 상대적으로 비싸게 되는 우리나라의 제품들이 가격 경쟁력이 떨어지게 되기 때문입니다.

    일본 기업의 수출량이 늘어나게 되고 우리나라의 경우 수출이 주 산업이기 때문에 영향을 받게 됩니다.

  • 엔화가 떨어지는 이유는 일본과 미국 간의 금리 차이가 커서 투자자들이 엔화를 팔고 달러를 사기 때문입니다.

    엔화가 떨어지면 일본에서 수입하는 제품 가격이 올라가고 반면에 일본 여행 비용은 더 저렴해집니다. 따라서 우리나라 소비자 물가에 영향을 미치고일본 여행객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