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닷물에서 소금이 나는 이유가 먼가요?
바닷물에서 염전을 만들면 소금이 발생하잖아요. 바닷물에서 소금이 어떻게 생기는건가요? 애초에 바닷물에 소금성분이 많이 있는 건가요?
- 안녕하세요. 김계민 과학전문가입니다. - 바닷물이 짠 이유에 대해 알려 드립니다! - 바닷물이 민물과 다르게 짠맛이 나는 이유는 다양한 무기물들이 녹아 있기 때문인데요. 이 물질들을 ‘염류’라고 해요. - 바다별로 조금씩 다르지만 보통 바닷물 1Kg 속에는 35g의 염류가 녹아 있다고 하는데요. - 바닷물 염분 중 가장 비중이 높은 물질이 바로 소금의 주성분인 염화나트륨(NaCl) 이에요. - 덕분에 염전에서 바닷물을 천천히 증발시키면 소금이 만들어지는 건데요. 하지만 바닷물을 맛보면 소금 같은 짠맛 뿐만 아니라 쓴맛도 함께 느껴지죠. - 그 이유는 염화나트륨 외에도 바닷물에는 다른 여러 가지 성분들이 녹아있기 때문인데요. 그 중 염화나트륨 다음으로 많은 염화마그네슘 때문에 짠맛과 함께 쓴맛도 느껴지는 거라고 해요. - 그렇다면 민물과 달리 바닷물에는 어떻게여러 성분의 염류가 녹아있는 걸까요? 45억년 전 지구가 생성된 이후 수많은 화산이 폭발하고 화산섬이 생기며 새로운 암석이 만들어지는 등 지각활동이 매우 활발했다고 해요. - 바닷물의 염류는 바로 오래 전 지구에서 있었던 지각활동과 관련이 깊은데요. 염분을 포함하고 있는 육지의 암석 표면을 빗물이 씻어 내리고, 냇물과 강물을 통해 바다로 흐르는 작업을 수억년간 반복하면서 바닷물이 짜졌다고 해요. 또 해저의 화산폭발로 분출된 많은 물질들과 화합해 바닷물의 짠맛과 쓴맛을 내는 여러 성분의 염류가 되었다고 해요. - 특히 바다 속에는 육지보다 훨씬 많은 화산이 있었기 때문에 그로 인한 물질들이 많이 가라앉아 있다고 하는데요. 그렇기 때문에 우리가 강물과 같은 민물에서는 느끼지 못하는 짠맛을 바다에서는 느낄 수 있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준엽 박사입니다. - 소금은 용해된 미네랄, 주로 염화나트륨의 형태로 해수에 존재합니다. - 바닷물은 용해된 소금의 농도가 높고 바닷물의 소금 농도는 다양할 수 있지만 평균적으로 약 3.5중량%의 소금입니다. - 소금은 증발이라는 과정을 통해 바닷물에서 형성됩니다. - 바닷물이 증발하면 물 분자가 수증기로 바뀌고 소금을 포함한 용해된 미네랄이 남습니다. 그런 다음 소금 결정을 수집하고 처리하여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 바닷물이 짠 이유는 육지의 염분이 바다로 흘러가기 때문입니다. - 바닷물은 햇빛에 의해 증발되기도 하고 강물이 유입되기도 하고, - 육지에서 염분이 유입되는 등 여러 환경적인 요인으로 염분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있다고 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