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넉넉한원숭이262
넉넉한원숭이262

기공은 잎의 뒷면 뿐만이 아니라 앞면에도 위치하나요?

중2 과학책에서 기공이 잎의 앞면보다 잎의 뒷면에 많이 있다고 하는 데, 그렇다는 건 잎의 앞면에도 뒷면 만큼은 아니지만 기공이 존재한다는 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

    네 잎의 앞면에도 기공이 존재합니다.

    다만 일반적으로 뒷면보다는 수가 많이 적습니다.

    몇몇 물에 잎을 띄워서 사는 수생식물은 잎의 앞면에 기공이 더 많은 경우도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지호 박사입니다. 네, 기공은 주로 잎의 뒷면에 많이 존재하지만 잎의 앞면에도 위치합니다. 기공은 표피세포가 변형된 공변세포 2개로 이루어진 구멍을 말하며, 식물의 증산작용을 조절합니다. 기공이 잎의 앞면에 위치할 경우에는 햇빛을 직접적으로 받아서 수분 손실이 크기 때문에 대부분 기공은 잎의 뒷면에 존재합니다. 하지만 수련과 같이 잎이 물 위에 떠있는 수생식물의 경우에는 잎의 아랫면이 물에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주로 잎의 윗쪽에만 존재합니다.

  • 기공은 식물의 잎의 뒷면에 더 많이 위치해 있지만, 일부 식물은 잎의 앞면에도 기공을 가지고 있을 수 있습니다. 잎의 앞면에 존재하는 기공은 뒷면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을 수 있지만, 여전히 기공이 존재한다는 것이 맞습니다. 이러한 기공을 통해 식물은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산소를 방출하여 광합성을 수행합니다.

  • 네, 맞습니다. 대부분의 식물에서 기공은 잎의 뒷면에 더 많이 분포하지만, 잎의 앞면에도 일부 존재합니다. 이러한 분포는 식물이 수분 손실을 최소화하면서도 효율적인 가스 교환을 할 수 있게 해줍니다. 잎의 앞면에 있는 기공의 수는 식물 종류와 생육 환경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뒷면에 비해 훨씬 적습니다. 이렇게 기공의 분포를 조절함으로써 식물은 광합성에 필요한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면서도 과도한 증산작용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문지현 전문가입니다.

    식물의 종류에 따라 비율은 다르지만 보통 앞면보다는

    뒷면에 기공이 많이 분포하고 있습니다.

    또한 앞면에는 없고 뒷면에만 기공이 있는 편면기공엽도 존재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기공은 대부분의 식물에서 주로 잎의 뒷면에 위치합니다. 일부 식물에서는 잎의 앞면에도 위치할 수 있습니다. 물가나 습지에서 자라는 식물은 잎이 물에 잠길 수 있기 때문에 잎의 앞면에도 기공이 위치할 수 있습니다. 이런 식물들은 잎의 둘다 면에서 기공을 통해 가스 교환을 할 수 있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