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고매한크낙새25
고매한크낙새2523.06.12

단순히 비가 0도 이하가 되면 눈인가요?

구름에 비와 눈이 다 만들어져 내려옵니다. 둘다 생기는 원인은 같고 단지 온도가 차가우면 눈이고 온도가 덜 차가우면 비가되는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기형 과학전문가입니다.

    정확히는 2도 이하의 온도에서부터 고화가 진행됩니다.

    0도가 되었을 때 완벽한 눈이되는것이 아니라 표면에서부터 천천히 눈이 되는 것 이죠.


  •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

    기온이 0도가 될 때부터 고화가 진행되기 떄문에 눈으로 변하기 시작합니다.

    단, 0도가 되면 바로 눈이 되는 것은 아니고 눈으로 진행되는 과정으로 보시면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네 비와 눈은 구름 안에서 형성되고 성장하는 과정에서 온도와 다른 조건의 영향을 받으며 결정됩니다. 비는 일반적으로 더 따뜻한 온도에서 형성되고 눈은 보다 낮은 온도에서 형성됩니다.


  • 비가 0도 이하가 되면 눈이 아니라 우박이 됩니다. 눈은 수증기가 승화되어 기체에서 고체로 된 것입니다. 눈은 커질수록 결정의 크기가 커지지만 우박은 커질수록 겹겹이 쌓인 형태가 됩니다. 따라서 크기가 큰 우박을 잘라보면 나이테처럼 보이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연수 과학전문가입니다.

    눈은 수분 알갱이가 모여서 생기게 되는데, 구름 속 물방울이 온도가 낮아져서 얼음 알갱이가 되어 내리게 되면 바로 눈이 됩니다. 통상적으로 상층부의 기온은 낮고, 지상부근의 기온이 2 ℃ 이하가 될 때 눈이 올 수 있는 환경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태경 과학전문가입니다.

    높은 구름근처에서 만들어진 것은 대부분 눈의 형태 일간데요

    지상으로 내려오면서 녹아 비가됩니다

    하지만 겨울처럼 추운 날씨는 녹지 않고 눈이 되는 거죠

    아마 0도 근처 온도면 눈으로 내릴 거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비가 0도 이하가 되면 일반적으로 눈으로 변화합니다. 비는 액체 상태의 강수 현상이며, 눈은 대기 중에서 수증기가 응결되어 얼어붙은 빙정의 형태로 떨어지는 기상 현상입니다. 온도가 0도 이하로 떨어지면 비는 얼어서 눈으로 변화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어디에서 0도 이하인가에 따라 달라집니다.

    본래 구름에서 떨어질 때는 눈의 형태로 떨어지게 됩니다. 이 때 충분히 대기가 차가워서 그대로 떨어지면 눈이되고, 따뜻한 대기층을 만나 녹으면 비가 되며, 다시 급속도로 차가워지면 눈이 아니라 진눈깨비같은 얼음알갱이가 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정준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네 얼어요 다만 0도 까지 안가도 얼어요 얼음에 불순물이 많아 더 빨리얼기도 하는데

    종종 그 불순물 때문에 0도에서 안 얼수도 있는데 대부분 얼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