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연방준비제도가 지난 9월에 이어 또 기준금리 인하를 단행했다합니다. 이에 따라 한국과 미국의 금리 격차는 1.5% 포인트로 다시 줄었습니다. 우리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어떤가요?
미국 연방준비제도가 지난 9월에 이어 또 기준금리 인하를 단행했다합니다. 이에 따라 한국과 미국의 금리 격차는 1.5% 포인트로 다시 줄었습니다. 우리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어떤가요?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미국의 추가 기준금리가 우리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한 내용입니다.
일단 미국이 추가로 0.25퍼센트 금리를 내렸기에
우리 한국은행도 기준금리 인하에 대한 압력이 있겠지만
현재로선 우리 나라가 기준금리 추가 인하에 여력이 있을지 의구심이 듭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이 금리인하를 하였기에 우리나라가
금리인하 등을 하지 않는다면 계속 금리 격차가
줄어들어 원달러 환율의 안정세에 기여할 수도 있지만
조금 더 지켜보아야 할 것으로 보이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김한 경제전문가입니다.
금리 격차가 줄어든 것은 사실 한국 입장에서는 좋은 것인데 한국의 경쟁력이 약화됨에 따라 금리 격차의 호재가 작용하지 않는 것으로 보입니다.
원래라면 환율이 내려가고 경상수지에서 이익이 늘어야 정상입니다.
현재 한국의 국가적 경제력이 약화되어 환율이 오르고 있는 한편 트럼프가 한국에 대해 우호적이지 않기 때문에 상황은 그렇게 좋지 않다고 보여집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미국의 금리 인하는 한국 경제에 여러가지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미국이 금리 인하를 하면 일반적으로 우리나라도 한은에서 금리를 인하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한국이 금리를 인하하게 되면 원화 약세와 수출 경쟁력 강세를 유도 할 수 있습니다. 반면에 너무 급격하게 금리가 인하되면 물가 상승 압박이나 부동산 가격 과열 등 부작용이 있을 수 있습니다.
1명 평가일단 우리나라도 기준금리 인하가 시급한 상황입니다.
미국 기준금리가 내렸으면 우리나라도 금리 인하에 한결 수월해집니다.
다만 한은 총재도 이번에 언급했듯이 원달러 환율 급등으로 금리인하가 다시 어려워지기도 했습니다.
원래는 금리격차 축소로 원달러 환율이 내려가야 정상인데 상황이 달라졌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이종영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 연준의 추가 금리 인하로 한미 금리 차가 줄어들면서 우리나라로의 외국인 자본 유출 가능성이 높아지고, 원화 가치가 하락하며 환율이 상승할 수 있습니다. 이는 수입 물가 상승을 부추겨 국내 물가에 부담을 줄 수 있으며, 기업들의 수익성 악화로 이어져 경기 둔화를 야기할 수 있습니다. 또한, 금융 시장의 변동성이 커지면서 투자 심리가 위축될 수 있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김명주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의 기준금리 인하로 한국과 미국 간 금리 격차가 줄어들면, 외환시장에서는 원화가 강세를 보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금리 차이가 좁혀지면서 자본이 국내로 유입될 수 있고, 이는 원화 안정에 기여할 수 있으나, 반대로 한국의 금리가 여전히 상대적으로 높을 경우, 외국 자본의 이탈 위험이 존재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