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화학

내이름실험왕
내이름실험왕

불이 날때 불을 끄는 원소가 무엇인가요?

그냥 불은 종이로 타서 나는 불로 가정을 했을때

물을 뿌리면 불이 사라진다?는거로 알고있는데 이유가 뭔가요?? 물에도 산소성분이 있어서 오히려 번져야 하능거 아닌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물은 높은 비열을 가지고 있어 불에 뿌려지면 주변의 열을 흡수하여 빠르게 온도를 낮춥니다. 물이 열을 흡수하면 불의 온도가 급격히 낮아져 화염이 꺼지게 됩니다. 또 물이 증발하면서 물방울과 수증기 형태로 불 주위의 공간을 차지합니다. 이 과정에서 공기 중의 산소와 불이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것을 막아 연소를 억제합니다. 불에 물을 뿌려도 산소 성분 때문에 불이 번지지 않는 이유는 물 자체가 화학적으로 안정되어 있어 일반적인 화재 온도에서는 쉽게 분해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 불이 날때 물을 뿌리면 불이 꺼집니다.

    그 이유는 불이 날때 열이 필요합니다. 그래야 계속 연소를 하게 됩니다.

    그 때 물을 뿌리면 열을 물이 빼앗아 가기 때문에 연소에 필요한 열을 공급하지 못하여 불이 꺼지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