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화학

밤하늘의오로라
밤하늘의오로라

금속에 다른 금속을 표면에 입히는 도금 과정은 전기 분해를 통해서 할 수 있다고 하던데 어떤 원리로 할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금속에 다른 금속을 표면에 입히는 과정을 흔히 도금이라고 하고, 이와 같은 도금 과정은 전기 분해를 통해서 할 수 있다고 하던데 어떤 원리로 할 수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네, 말씀해주신 것과 같이 도금이란 금속 표면에 다른 금속을 입히는 것을 말합니다. 도금할 때는 보통 도금을 하고자 하는 물체를 음극(–) 으로, 도금에 사용할 금속을 양극(+) 으로 연결한 뒤, 두 전극을 해당 금속 이온을 포함한 전해질 용액에 담급니다. 이후 전원 장치를 통해 전류를 흘리면, 양극에서 금속 원자가 전자를 잃고 금속 이온(Mⁿ⁺)으로 용액 속으로 녹아 들어가는데요, 이렇게 방출된 금속 이온은 용액을 통해 음극으로 이동하여 전자를 받아 다시 금속 원자로 환원되고, 이 금속 원자가 음극 표면에 차곡차곡 쌓여서 도금이 이루어지는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

    산화 환원 반응으로 도금을 하게 됩니다.

    금속은 금속원자와 자유 전자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쉽게 설명하면 전해질에 금속을 녹여서(이온화) 전기를 통하게 되면 원하는 금속에 얇게 도금을 시킬 수 있습니다.

    도금당할 금속에 음극을 연결하고 도금시킬 금속에 양극을 연결하는데 이 두가지 금속을 전해질에 넣어놓습니다. 양극에서는 전자를 잃어 금속이온이 전해질에 녹아 들어가게 되고 음극에서는 전하가 전해질로 들어가 양이온화된 금속이온과 결합하여 도금당할 금속에 달라붙어 얇은 막을 형성하게 됩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1명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