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시장이 오늘은 혼조세이지만 그래도 하락하는 흐름 같은데요, 추세가 반전할 가능성은 얼마나 될까요?
apec 정상회담할 때만 해도 좋았는데요, 그 이후에 흐름이 일시적이길 바라는데 하락 흐름인 거 같아서 좋지 않은 거 같은데요 이와 같은 흐름은 반전될 가능성은 얼마나 될까요?
안녕하세요. 김명주 경제전문가입니다.
현재의 혼조세와 하락 흐름은 조정 국면으로 보이며, 주요 증권사들은 이를 강세장의 자연스러운 조정으로 평가하고 있습니다. 향후 AI 산업 성장과 3저 호황이 뒷받침된다면 추가적인 상승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코스피 시장에 대한 내용입니다.
일단 반도체의 실적이 앞으로 어느 정도 보장이 되고 있기 때문에
하락장으로 들어가지 않고 반등해서
다시 오를 것으로 보여집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김한 경제전문가입니다.
현재는 12월 연말랠리를 지켜봐야겠습니다.
11월은 그동안 차익실현으로 좀 많이 빠질 것으로 보이는데 미국의 행보에 문제가 없다면
12월부터는 다시금 회복세로 갈 확률이 높습니다. 어찌저찌 정부의 정책방향이 5,000이 목표라면
내년안에는 그 가까이는 찍을 가능성이 높으며 미국의행보에 너무 큰 이상이 있거나 혹여 대기업 실적이 다시금 좋지 않다면 꺾이겠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김윤식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그동안 계속적인 상승에 따라 차익 실현매물이 출회되고 미국경제가 셧다운과 AI버블에 대한 우려로 하락하면서 글로벌 주식시장이 부진한 흐름을 보이고 있습니다. 따라서 일시적으로 조정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구간이라고 생각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전일 미국 시장이 하락했고 오전 보합세에서 오전 늦은 시각부터 급락세로 돌아섰습니다. 금요일이기도 해서 조금 만회할 가능성은 있으나 2% 이상 하락으로 코스피를 장을 마감할 가능성이 커 보입니다. 특히, 개인이 4천억원 이상 매집하며 외국인과 기관 물량을 받고 있어서 상승 반전은 어렵지 않을까 싶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박창변 경제전문가입니다.
올해 코스피가 많이 상승한 것은 기업 실적이 아닌 연기금에 의한 상승으로 이제 그 한계를 드러내는듯 합니다.
진짜 조심해야 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허찬 경제전문가입니다.
국장은 미국 장이 하락하는 영향을 받으면서 동반 하락이 불가피한 것으로 보입니다. 반도체나 AI 기대감 뉴스들이 일단 끝났기 때문에 추가적인 내용이 나와주어야 반등 가능할 것으로 보입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최근 하락은 외국인 차익실현과 환율 불안에 따른 단기 조정입니다,
추세 전환 가능성은 금리 인하 기대가 재확인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단기 조정이더라도 중기 상승 흐름은 유효하다는 평가 많습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추세가 반전하려면 미국 증시부터 상승하는 모습을 보여줘야 하는데, 어제밤에도 혼조세를 보여줬기에 당장 다음주 월요일에도 하락 혼조세를 보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당분간 거품이 빠지는 조정이 발생할 것으로 전망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