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리인하와 불황에 대해서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역사적으로 고금리에서 금리인하시기로 돌아선 후에 버블이 터지거나 불황이 온다고 하는데
사실인지 사실이라면 어떤 원리인지 현재는 어떤 상황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금리 인하와 불황에 대한 내용입니다.
상당한 경우 경기 침체가 시작되기에 이를 막기 위해서 금리 인하를 하기에
결국 금리 인하 시점이 불황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있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전문가입니다.
금리인하를 하면 시중에 화폐유통량이 넘쳐나게되고, 자본조달비용이 줄어들어 기업이나 가계에 레버리지부채가 늘어나게됩니다. 화폐가치는 떨어지고 인플레이션이 확산되고 급기야 버블경제로 번질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금리 인하가 버블을 발생시키는 현상은 일반적으로 발생하지 않으며, 다양한 요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금리가 인하되면 유동성이 증가하여 은행 대출이 쉬워지고, 이는 주식과 부동산 가격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또한, 금리 인하로 인해 투자자들의 기대 수익률이 낮아지면서 고위험 투자에 대한 선호도가 늘어날 수 있습니다. 또한, 금리 인하는 화폐 가치 하락을 초래할 수 있어 자산의 상대적 가치를 높이는 요소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상황에서도 버블 붕괴가 일어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버블이 유지되거나 붕괴하는 것은 다양한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기업 실적 개선이나 인구 구조 변화와 같은 긍정적 요인들이 함께 작용하면 버블이 지속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강하 경제전문가입니다.
역사적으로 고금리에서 금리 인하시기로 돌아선 후 버블이 터지거나 불황이 온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이는 몇 가지 경제적 원리와 관련이 있습니다.
고금리 시기에는 대출이 어렵고 소비와 투자가 감소해 경제 성장이 둔화됩니다.
반면, 금리가 낮아지면 대출이 쉬워지고 소비와 투자가 증가해 경제가 활성화되지만, 과도한 자산 가격 상승(버블)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이 버블은 결국 터지기 마련인데, 이유는 자산 가격이 실제 가치보다 너무 높게 평가되었기 때문입니다.
버블이 터지면 자산 가격이 급락하고, 이는 소비와 투자 감소로 이어져 불황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조유성 전문가입니다.
✅️ 사실상 금리 인하 시기로 가게 되면 자연스럽게 시중에 풀리는 돈이 많아지게 되고, 이게 직,간접적으로 주식, 부동산 시장으로 흘러들어가게 되어 가치보다 가격이 비싸져 버블이 생기게 되고 이게 터지면 곧 불황이 닥칠 수 있는 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이상열 경제전문가입니다.
고금리에서 금리 인하로 돌아선 후에 경제 버블이 터지거나 불황이 올 수 있다는 주장에는 여러 이유가 있습니다만,
요약하자면, 금리 인하가 이루어지면 자산 가격 상승과 부채 증가로 인해 버블 형성의 가능성이 다시 높아질 수 있으며, 이는 장기적으로 경제 불황의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전문가입니다.
대부분의 자산 시장 버블 붕괴는 저금리 하에서 엄청난 유동성이 시중에 풀리면서 주식이나 부동산 등에 자금이 몰리면서 발생한 바입니다.
최근 자산 시장의 급격한 상승은 코로나19로 인해 시중에 풀린 유동성에 힘 입은 바 크고 판데믹 이후 급격한 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해 금리를 인상하며 자산 시장에 껴든 거품이 제거 되며 주식과 부동산 가격이 급격히 하락하는 경험을 한 바 있습니다.
정도의 차이에 따라 버블 붕괴와 이에 따른 불황을 판별하는데 이는 당시 시기를 벗어난지 여러 해 이상을 지나야 알 수 있습니다. 경제는 이러한 경기침체와 경기상승의 반복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전문가입니다.
네, 역사적으로 금리가 높은 상태에서 금리 인하로 전환되면 자산 가격이 급락하거나 경제 불황이 오는 경우가 종종 있었습니다. 이는 금리 인하가 경제 불황의 신호로 받아들여지기 때문입니다. 현재도 금리 인하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는 경제 성장 둔화를 막기 위한 조치로 경제 상황을 주의 깊게 모니터링해야 합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보통 금리를 인하하는 것 자체가 경기가 어렵기에 하는 경우도 있어서 이에 따라서 금리인하 후에 불황이 오는 경우도 있는 것이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곽주영 경제전문가입니다.
금리인하로 반드시 버블이 터진것은 아니고 금리인하를 시작하면서 불황이 시작된적이 많았습니다. 그 이유는 중앙은행은 경기가 너무 뜨거워져서 인플레이션이 급상승하면 금리인상을 시작해 고금리를 유지합니다. 그러다 경기가 서서히 죽어가는것을 느끼면 위험을 느끼고 금리인하를 시작하지만 이미 식어버린 경기는 금리인하에도 회복을 못하고 계속 침체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