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전기·전자

청렴한치타291
청렴한치타291

반도체 중에 유기반도체라는 파트는 어떻게 제조되고 어디에 응용되나?

반도체라하면

금속과 절연체의 중간정도 성질을 가지는 부분적으로 통전되는 물질인데요

대표적인게 게르마늄 및 실리콘 등이 있고

실리콘이 현대시대의 전자기기 핵심소재로 사용되는 이유입ㄴ디ㅏ.

전자의 행동조절에 따른 전류흐름 조절이 가능하고

도핑에 따라 N , P 형으로 구분됩니다.

특이하게

유기반도체라는게 있는데

이는 탄소 기반의 유기물 분자로 구성된 반도체를 부르는 것인데요

탄소, 산소, 수소 등으로 짜여진 유기분자 구조를 가지게 됩니다.

그럼 이런 특수한 유기반도체는 어떤방식으로 만들 수 있으며

무기 반도체와 달리 주로 어디에 응용 및 적용 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준희 전문가입니다.

    유기 반도체는 탄소를 기반으로 하는 반도체 물질인데요 무기 반도체와 달리 유연하고 가공성이 뛰어나 플렉서블 소자나 디스플레이 등에 활용될 가능성이 높다고 보여집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전찬일 전문가입니다.


    유기반도체는 말씀하신 대로 탄소 기반의 유기물 분자로 이뤄진 반도체인데, 플라스틱처럼 유연하게 만들 수 있고 가볍고 얇게 가공이 가능하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제조 방식은 실리콘처럼 고온 고압 공정이 아니라, 잉크젯 프린팅, 스핀 코팅, 증착 같은 방법으로 비교적 낮은 온도에서 박막을 형성해 만드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래서 유연한 기판에도 쉽게 붙일 수 있어서 휘어지는 전자기기나 얇은 필름형 장치에 적합합니다. 응용분야로는 대표적으로 oled 디스플레이, 유기 태양전지, 유연한 센서나 전자종이, 유기 트렌지스터 같은 곳에 쓰입니다. 유기반도체는 고성능 보다는 가볍고 얇고 유연한 전자제품을 만들기 위한 용도에 특화되어있다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김재훈 전문가입니다.

    유기반도체는 폴리머나 저분자 유기물을 용액 공정이나 진공 증착으로 박막을 형성하고 필요하면 화학 전기화학적 도핑으로 전하 이동 특성을 조절해 만듭니다 기판이 유연하거나 대면적일 때도 저온 저가 공정이 가능해 OLED 패널 유기태양전지 휘어지는 센서 등에서 두각을 나타냅니다 즉 실리콘보다 전자 이동은 낮지만 가볍고 유연하며 대량 인쇄가 쉬운 장점 덕분에 차세대 디스플레이 에너지 웨어러블 전자에 주로 쓰입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강세훈 전문가입니다.

    유기반도체는 탄소 기반 유기물 분자로 만들어지며 주로 증착법이나 용액공정을 통해 제조됩니다.

    무기반도체와 달리 유연성과 가공이 쉬워서, OLED 디스플레이, 태양전지, 유연 전자기기 등에 널리 응용되고 있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조일현 전문가입니다.

    유기반도체는 기존 실리콘 무기반도체에 비해 가볍고 유연하며 제조 비용이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유기 반도체는 주로 디스플레이, 태양전지, 트랜지시터, 센서, 스마트 패키징 등을 제조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무기반도체에 비해 전도도 및 안정성, 내구성이 좀 떨어져 한계가 있다보니 지속적인 연구 개발이 필요해 보입니다.

    1명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