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하얀도화지113
하얀도화지11323.11.08

5.18 광주 민주화 운동이 시작 된 계기가 무엇이였나요??

안녕하세요

5.18 광주 민주화 운동이 시작 된 계기가 무엇이였나요??

1980년대 당시 군부 세력의 독재 정치를 타도하기 위함이였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11.08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5.18 광주민주화운동은 군사정권의 압박에 대한 항거로, 민주화, 통일, 평화를 추구하는 운동이었습니다. 원인은 신군부의 12.12 군사반란과 5.17 내란에 대한 저항 그리고 계엄군의 폭동적 시위진압을 하기위해 일어났습니다. 1979년 12·12 군사반란 직후부터, 좁혀 보면 1980년 5월 18일부터 5월 27일까지 전두환 등 신군부를 비롯한 쿠데타 세력이 내란과 폭동을 저지르고 이에 저항한 무고한 광주 시민들을 대거 학살 하였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5.18광주 민주화운동은 계엄령 철폐와 전두환 보안사령관을 비롯한 신군부 인사들의 퇴진, 김대중 석방 등을 요구했습니다.

    대통령 박정희의 장기간 군사독재가 통치능력을 상실한 일련의 사태는 1979년 10월 이후 연속적으로 발생, 10월 4일 신민당 총재 김영삼은 국회에서 의원직을 제명당하자 10월 15일부터 10월 20일까지 부산, 마산 등지에서는 부마항쟁이 일어났고 이의 해결을 둘러썬 노선대립으로 10월 26일 김재규가 박정희를 살해 합니다.

    10.26사태의 수습 과정에서 보안사령관 전두환 소장을 중심으로 한 신군부 세력이 부상하며 12.12 사건의 하극상을 통해 군부를 장악합니다.

    1980년 2월 29일 김대중 등이 복권되나 그 해 봄, 신군부는 최규하 과도정부를 유명무실하게 하고 국민들이 요구하는 민주주의와 이를 위한 명확한 정치일정 제시를 거부하며 권력기반을 구축합니다.

    군부의 재집권 야욕에 대한 국민적 저항은 학생운동을 중심으로 다양하게 표출되다 강원도 사북사태로 대표되는 생존권 문제로 확산, 5월 1일 대학의 학원문제가 교외로 확산되면서 5월 13일 부터 5월 14일에 걸쳐 서울, 부산, 대구, 광주 등 37개 대학에서 계엄철폐를 요구하는 시귀가 벌어집니다.

    5월 15일에 서울역에서 시위가 발생하는 등 학생시위는 서울시가지를 거의 마비시키는 등 야간까지 지속되어 사태가 절정에 달하면서 신군부 세력을 위협, 5월 16일 24개 대학 학생대표들은 당분간 시국의 추이를 관망하기로 결정하고 가두시위를 중단하면서 소강상태에 돌입하는 듯 합니다.

    5월 17일 신군부 세력이 배후에서 조종하던 비상국무회의가 이전까지는 제주도를 제외한 지역에 한정되었던 비상계엄령을 전국에 확대하는 조치인 계엄포고 10호를 밤 9시 40분에 의결하고 밤 11시 40분에 발표하면서 밤 11시를 전후한 시점부터 김대중, 김종필이 연행되는 등 권력형 부정축재자 및 소요조종 혐의자, 학생 시위 주동자가 체포, 광주민주화운동은 이러한 배경에서 5월 18일부터 시작됩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박정희 대통령이 피살 되고 1980년 초부터 당시 보안사령관 전두환 소장은 언론을 조종·통제하기 시작했고 전두환은 같은 해 4월 14일에 중앙정보부장 서리에 임명돼 대한민국 내의 정보 기관을 모두 장악했습니다. 광주 민주화 운동은 이러한 군사 독재 체제에 반대 하며 계엄령 해제 및 군사 정권 해체 등을 외치며 민주화 운동이 벌어 진 것 입니다.


  • 안녕하세요. 유영화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1979. 10·26 사태 이후 국민은 유신 헌법이 폐지되기를 기대했지만, 보안 사령관인 전두환 등 하나회 출신 군인들이 군사 반란을 일으켜 군권을 장악하였습니다(12·12 사태, 1979). 이로써 군인은 신군부가 등장하게 되었습니다. 반면에 시민들은 1980년 봄, 유신 철폐와 신군부 퇴진을 요구하는 대대적인 민주화 운동이 전개되었습니다(서울의 봄).

    그러나 신군부는 5.17 비상계엄을 전국으로 확대하였으며, 그 본보기로 5월 18일부터 광주 시위를 대상을 탄압하였습니다. 신군부는 급파된 공수 부대는 폭력을 휘두르며, 언론을 통제하여 광주 시민을 폭도로 몰아갔습니다. 분노한 시민들이 전남 도청 앞에 모여들자 계엄군은 시위대를 향하여 발포하면서 광주 민주화 운동이 확산되었습니다.

    결론적으로 5.18 민주화 운동은 신군부 세력이 권력 장악을 공고히 하는 과정에서 일어난 민주화 운동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