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
신라의 왕의 호칭은 어떻게 바뀌었나요?
신라는 마립간이란 칭호에서 왕으로 바꾸었다고 기억하는데요. 그 이전에 왕을 지칭하는 용어는 무엇이었고 언제 바뀌게 되었는지 궁금해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신라는 국가 발전 과정에서 왕호가 변하였습니다. '거서간'은 소국 체제의 군장으로 귀인이란 뜻이고, '차차웅'은 제정일치의 제사장을 말하며, '이사금'은 연맹장으로 연장자를 말합니다. 그리고 내물왕때는 강력한 대수장을 의미하는 '마립간'을 사용하였습니다. 당시는 국왕권이 강화되면서 고대 국가의 기틀을 마련합니다. 지증왕 때는 중국식 왕호인 '왕'을 사용하였으며, 특히 진흥왕 때부터 진덕여왕때까지는 불교식 왕명을 사용하기도 합니다.
안녕하세요. 권기헌 전문가입니다.
1대 혁거세 = 거서간
2대 남해 = 차차웅
3대 유리, 4대 탈해 ~ 16대 흘해 = 이사금
17대 내물 ~ 21대 소지 = 마립간
22대 지증왕 ~~
순으로 왕의 명칭이 변화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