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주식·가상화폐

유능한스라소니93
유능한스라소니93

저쿠폰채에 대한 개념이 알고싶습니다

삼성증권이 저쿠폰채 판매가 전년대비 5프로가 늘었고 저쿠폰채 수익률이 5프로 이상에 달한다는데 저쿠폰채 상품에 대해 자세히 알고 싶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쉽게 설명드릴게요!

    저쿠폰채는 액면 그대로 저리의 쿠폰으로 발행된 채권 즉, 금리가 낮은 채권을 의미합니다.

    현재 기준금리가 2.5%인데, 1%로 발행된 채권은 당연히 가격이 하락할 수 밖에 없는데요.

    예를들어서 1%로 발행된 1,000원짜리 3년만기 채권은 현재 예금 이율 3%보다 낮아 액면가 1,000원 그대로 사려고 하지 않을 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할인 즉 액면가를 낮춰서 구입할 수 있게 되는데요. 1,000원짜리 1%채권을 950원에 구입하게 됩니다.

    그렇다면 만기에 받게되는 이자는 1년이 경과된 채권이라면 2%이자(20원)+ 1,000원(액면발행가) = 1,020원을 받게 되는데요

    이자에 대해서는 과세가 되지만 액면가채액(1,000원-950원=50원)에 대해서는 비과세가 적용되게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이자+절세차액을 통해서 오히려 3%의 이자를 받는 예금보다 나은 수익을 거둘수 있게 되는 구조입니다.

    좋은하루되세요!

  •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저쿠폰채권은 액면가보다 시장가격이 낮은 채권이며 쿠폰은 이자율을 말합니다.

    시중금리가 낮았던 2000년대 초반 장기채나 2020-2021년 발행된 저쿠폰 채권은 그간 금리가 올랐으므로 현재 상당수가 발행당시보다 낮은가격으로 거래되고 있어 이런 채권을 지금 매수하면 만기시 매매차익을 노릴수 있습니다.

    과세대상인 이자소득은 줄이고 비과세인 매매차익은 늘리면서 절세효과를 누리고 실질 수익률을 높이는 전략입니다.

  • 안녕하세요. 성삼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삼성증권사에서 8월까지 2조6천억규모로 5배정도 늘었다고 하는데 저쿠폰채권은 장외시장에 거래되는 채권중에서도 낮은 표면금리로 발행된 쿠폰을 말합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저쿠폰채란 저금리시기에 낮은 표면금리로 발행된 채권을 말합니다.

    금리인상기에는 보통 채권의 가격이 하락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이전에 발행된 채권의 가격이 떨어져 이 채권들을 매수한다면

    이자수익은 적어지고 매매차익은 세금을 내지 않아 세금을 낮추는데 유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