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해에 들어가면 엄청난 수압을 이겨내야
심해에 들어가면엄청난수압이 작용한다고 하는데 심해 밑바닦에도 생물이 살고있는데 이런생물들 어떻게 그 큰수압을 견딜수가있는지 궁금합니다
심해에 사는 생물은 수압을 견딜 수 있도록 진화했는데요, 가장 큰 부분은 몸에 기체를 가지고 있지 않습니다.
즉, 높은 수압을 받는 심해 생물들은 일반적인 생물과는 다른 구조를 가지고 있는데, 가장 큰 특징은 몸속 빈 공간에 공기대신 물이나 기름을 채워 넣는 것입니다. 이렇게 하면 몸 안에 물과 몸 밖에 있는 물의 압력이 균형을 이뤄 몸이 압력으로 찌그러지는 것을 막을 수 있어 대부분의 심해어는 부레가 없습니다.
또한 심해 생물들은 고압에서도 세포 사이의 물질전달이 원활하게 이뤄지도록 막 구조에 불포화지방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 수압을 견딜 수 있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심해 생물들은 보통 공기주머니를 갖고 있습니다. 이러한 부레를 갖고 있는 동물들은 가스 대신 오일을 채워 압력을 이깁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심해 생물들은 높은 수압에 견디기 위해 심해 외의 생물과는 형태와 기능이 다른 기관들을 가집니다.
몸의 안쪽에 부레같은 기관이 없습니다.
대신 밖의 물이 계속 통해서 내부 압력과 외부압력이 동일하게 유지합니다.
세포수준에서는 세포막에 불포화지방산이 많이 포함되어 유동성이 커 높은 수압에서도 생체활동이 일어날 수 있다고 합니다.
또 움직임을 최소화하는 편입니다.
이런 심해생물들은 이런 높은 수압에 적응한 종이기 때문에
오히려 물밖으로 가지고 오면 몸이 부어서 죽는다고 합니다.
바다에서는 수심이 10m 내려갈 때마다 수압이 평균 1기압씩 증가하는데요 이를 고려하면 수심 10km의 해구에 사는 심해 생물은 1천기압의 압력을 받는 것과 같습니다. 하지만 높은 수압을 받으며 살고 있는 생물들은 천해 지역의 생물들과는 다른 구조를 갖는데요, 가장 큰 특징은 몸 속 빈 공간에 공기대신 물을 채워넣는 것입니다. 이렇게 하면 몸 안에 있는 물과 몸 밖에 있는 물의 압력이 균형을 이뤄 몸체가 찌그러들지 않으며 대부분의 심해 어류는 부레를 가지지 않습니다.
심해 생물들의 몸은 압력에 강한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심해 생물들은 단단한 외골격이 없고 아주 유연한 조직을 가지고 있어서 심해의 수압에 의해 몸이 쉽게 손상되지 않습니다. 심해생물의 세포막의 구성 지질이 압력에 따라 변화하여 더 유연하게 작동할 수 있도록 조절됨으로서 고압 환경에서도 정상적으로 세포들이 기능을 할 수 있도록 진화되었습니다.
제 답변이 아주감동적인목련님에게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도움이 되었다면 좋아요 한번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