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전기·전자

영악한호돌이104
영악한호돌이104

해외제품 제품 구매 후 사업자등록 후 판매시 유의점

해외사이트에서 제품을 구매후 국내 오픈마켓에서 판매를 고려하고 있는데 알아야할것들이 무엇이있나요?

해당제품은 전기관련 제품입니다

도소매 유통으로 봐야하는데

일반적으로 도매처에서 구매후 판매하는 방식입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전기기사 취득 후 현업에서 일하고 있는 4년차 전기 엔지니어 입니다.

    해외 제품을 국내에서 판매하려면 몇 가지 중요한 점을 확인해야 합니다. 먼저, 전기관련 제품은 KC 인증이 필요합니다. KC 인증 없이 판매할 경우 법적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수입통관 시 관세와 부가세, 기타 수입 절차를 정확히 확인해야 하며, 전기안전법과 전파법 등 관련 법규에 맞는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사업자등록을 할 때 수입 및 도소매업에 관한 업종을 정확히 등록해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국내 소비자 보호법에 따라 제품의 안전성, 사용자 매뉴얼, 보증 조건 등을 제공해야 합니다. 이 과정에서 법적 자문을 받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전기전자 분야 전문가입니다.

    해외에서 전기 관련 제품을 구매 후 국내에서 판매하려면 몇 가지 중요한 점을 고려해야 합니다. 우선, 해당 제품이 국내 전기 안전 규정 및 인증을 충족하는지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인증 없이 판매할 경우 법적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수입 시 관세 및 부가세를 고려해야 하며, 이와 관련된 서류 절차를 철저히 준비해야 합니다. 판매하는 플랫폼의 정책이나 규제도 반드시 확인해야 하며, 제품 설명과 광고가 실제 제품과 일치하도록 신경 써야 소비자 보호법 위반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고객 지원과 A/S 체계를 마련하여 원활한 판매 운영을 유지하시기 바랍니다.

    좋은 하루 보내시고 저의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 안녕하세요. 설효훈 전문가입니다. 해외 직구 전자제품의 경우 개인 사용에 의해서 1인당 1대에 대해서 1년이 지난제품에 대해서는 전파인증에 대해서 면제하여 판매가 가능합니다. 하지만 다량의 제품을 판매시 관세법에 의해서 면세를 받고 판매시 관세법에 의해서 밀수출입죄나 관세포탈죄등의 처벌이 될수 있습니다. 또한 1년이 지나지 않고 바로 판매에 대해서는 전파인증을 받아야만 판매가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