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문자, 전화등을 스팸이라고 부른 유례는?
하루에도 여러번의 광고문자 마케팅 목적의 전화 등을 겪고 있는데, 이들 성격의 메세지, 통화 등을 스팸이라고 부릅니다.
이 스팸이라는 말의 유례가 유명통조림햄을 만드는 회사와 관련이 있습니까?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스팸은 1920년대 미국인들의 식생활에 큰 비중을 차지하던 호멜푸드스사의 돼지고기 햄 통조림 상표였는데, 스팸은 미국은 물론 세계적인 유통망을 가진 상품으로 이 상품의 홍보를 위해 호멜푸드사는 광고에 역량을 총 집중했고, 그 결과 엄청난 물량의 광고가 사람들을 귀찮고 짜증나게 하는 공해와 같은 현상을 야기했습니다.
그때부터 일반적으로 사람들을 괴롭히는 대량의 광고를 스팸이라 부르게 되었습니다.
안녕하세요. 황정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스팸이라는 용어는 처음으로 1994년 3월 31일에 미국의 전자우편 서비스 회사인 AOL(America Online)에서 발생한 사건에서 유래되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예슬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스팸은 미국 기업인 호멀 식품(Hormel Foods)에서 처음으로 생산하였다고 알려져 있는데, 제2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게 되는데요! 독일군이 영국으로의 해상 보급로를 막아버린 탓에 물자의 수급이 어려웠고 육류를 구하기가 쉽지 않은 상황에서 미국에서 항공기를 통해 지원해주는 이 스팸만을 풍족하게 먹을 수 있었는데 나중에는 스팸밖에 먹을 것이 없어 굉장히 싫어했다고 합니다.
어딜가나 스팸밖에 없는 상황에서 스팸메일 등의 용어가 사용된 것으로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김태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스팸이라는 용어는 주로 광고 메시지나 이메일, 전화 등에서 불필요하고 원치 않는 정보나 광고를 보내는 것을 가리키는 용어로 사용됩니다. 스팸이라는 단어는 1970년대 초반 미국에서 스팸햄이라는 가공식품 회사에서 만든 햄의 광고를 계속해서 보내 자극적이고 불필요한 정보를 주입하는 것을 가리키는 용어에서 유래했습니다. 이후 이 용어는 인터넷이 보급되면서 이메일 스팸, 광고문자 스팸, 전화 스팸 등 불필요한 정보를 전달하는 모든 용도에서 사용되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진광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스팸 자신에게 불필요한 문자나 메세지를 계속 보내는 것으로 정의가 됩니다. 이 스팸은 햄회사와 전혀 관련이 없습니다. 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