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역사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과거 식민지 시절에 왜 그렇게 사탕수수를 많이 재배한 것인가요?

제국주의 시절에 식민지배를 받던 국가들이 강제적으로 사탕수수를 많이 재배하였다고 합니다. 그런데 사탕수수는 왜 그렇게 많이 재배하였어야 했던 것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사탕수수 농업은 엄청난 노동력이 들어가지만 수확이 끝난 후 설탕을 정제하는 과정에서도 많은 노동력이 요구되는 일입니다. 수확하면 줄기 안의 부분이 굳어가기 때문에 굳기 전에 신선한 상태에서 가열과정을 거쳐서 추출해야 하고 한꺼번에 수확하고 한꺼번에 정제해야 하는 특성 때문에 사탕수수는 천천히 재배할 수 없는 작물이었습니다. 사탕수수를 대량 생산 하기 위해 공장이 세워졌고 지속적인 노동력이 필요했기에 전쟁 포로로는 엄청난 일을 감당 할 수 없게 되자 점차 노예 노동력으로 대체하게되었습니다. 콜럼버스는 온갖 진귀한 식물을 유럽으로 전파했고 사탕수수도 아메리카 대륙으로 들여왔으며 스페인은 아메리카 대륙에서 사탕수수를 재배에 큰 성공을 거두었기에 대륙 식민지에서 사탕수수 재배에 나서게되었습니다.

    • 잘난몽구스218
      잘난몽구스218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설탕의 수요가 기하급수적으로 늘게 되는데 당시 세계 대부분의 국가에서 대규모 농지에서 막대한 양의 인력을 투입해 대규모로 작물을 재배하는 상업적 재배 시스템이 없었습니다.

      당시 유럽도 설탕의 수요를 충족시킬만큼 충분한 양의 작물을 재배할 수 없었고, 주변국들에서도 유럽인들이 소비할 만큼의 막대한 양의 사탕수수를 재배하지 않았습니다.

      이때부터 영국, 프랑스, 스페인 등 일부 국가들에 의해 플랜테이션이라는 새로운 작물 재배 유형이 식민지를 통해 시작되게 됩니다.

      이후 값싼 노동력을 얻기 위해 다른 대륙으로 눈을 돌리게 되며 노예무역이 시작됩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과거에는 설탕이 굉장히 중요한 음식 중의 하나 였습니다. 빵이나 과자, 캔디 등 여러 가지 음식에 필수적인 요소 였으니까요. 그래서 사탕 수수 밭을 경작 했는데 여기에는 많은 인력이 필요 했고 그래서 사탕 수수밭을 재배하는데 식민지의 많은 인력이 동원 되었습니다. 이것은 18-19세기 미국 남부에 흑인 들이 사탕 수수 재배를 위해 끌려 온것도 마찬 가지 이유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