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물리

rogermaan
rogermaan

겨울에 비가 오면 왜 기온이 떨어지나요

한 겨울에는 비가 오니 후에 확실히 기온이 떨어지던데 이것은 어떤 원리에 이런 현상이 일어나나요 삼투압 현상 같은 건가요 아니면 어떤 다른 이유가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비가 온 뒤에 물이 증발하기 때문에 기온이 떨어집니다.

      물이 수증기로 증발을 할 때에는, 주변에 열을 흡수해버립니다.

      그러면 주변의 열을 흡수했기 때문에 온도가 약간 떨어지고 차가워지게 됩니다.

      이러한 열을 기화열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겨울이 아니더라도 모든 계절에서 비가 오면 기온은 떨어집니다.

    • 안녕하세요. 김태경 과학전문가입니다.

      비가오면 기온이 떨어지는것은 기화열 때문입니다

      물에 젖은 상태로 밖에서 있으면 추운것은 물이 기화하면서 열을 뺏어가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비가 온다는건 찬공기가 존재한다는 의미입니다. 이 찬공기가 비를 만들게 되니까요. 그래서 당연히 주위 온도는 낮아질 수 밖에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비가온 뒤 모든 물체에 묻어있던 수분이 증발하며 주변의 열을 모두 흡수하게됩니다.


      또한 저기압이 지나간 뒤 이동성고기압이 그 자리를 채우게되는데, 겨울이 곧 다가오는 우리나라에서는 북쪽에서 차갑고건조한 고기압이 들어차게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