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화학

균형잡힌영양설계
균형잡힌영양설계

청산가리가 독성을 발현하는 과정은 어떻게 되나요?

청산가리(시안화칼륨)은 잘 알려진 대표적인 맹독성 물질인데 구체적으로 처내에 흡수되면 어떤 작용을 통해서 독성이 발현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청산가리(시안화 칼륨)는 매우 강력한 독성을 지닌 화합물로, 인체 내에서 흡수되었을때 심각한 생리적 영향을 미칩니다. 청산가리의 독성 발현 과정은 주로 그 분자가 세포 호흡 과정에 개입하여 산소 사용을 방해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집니다.
    청산가리는 체내에 들어가면 신속하게 시안화 이온(CN⁻)으로 분해됩니다. 이 시안화 이온은 세포 내 미토콘드리아의 효소인 사이토크롬 c 산화효소에 강하게 결합합니다. 사이토크롬 c 산화효소는 세포의 전자 수송 체인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이 효소가 제대로 기능하지 못하면 산소의 최종 전자 수용체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없게 됩니다.
    시안화 이온이 이 효소에 결합하면 산소와의 결합을 차단하여 세포 호흡을 중단시킵니다. 이로 인해 세포는 에너지(ATP)를 생성할 수 없게 되며, 이는 신속한 세포 사멸로 이어집니다. 세포의 에너지 생산이 중단되면 신체 조직과 장기의 기능이 급격히 저하되어 궁극적으로 생명을 위협하게 됩니다.
    따라서 청산가리의 독성은 세포의 에너지 생산 시스템을 마비시켜 신체의 생리적 기능을 신속하게 중단시키는 데서 기인합니다. 이러한 작용 메커니즘 때문에 청산가리는 매우 낮은 농도에서도 치명적일 수 있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이충흔 전문가입니다.

    청산가리(시안화칼륨, KCN)는 체내에 흡수되면 시안화 이온(CN⁻)으로 전환되어 독성을 발휘합니다. 이 이온은 미토콘드리아의 전자 전달계에서 시토크롬 c 산화효소에 결합해 산화적 인산화를 방해합니다.

    결과적으로 세포는 산소를 이용한 에너지 생산이 불가능해져 질식 상태에 빠지며, 혐기 대사로 인해 젖산산증이 발생합니다. 이러한 작용은 빠른 시간 내에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