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약·영양제

약 복용

굉장한풍뎅이209
굉장한풍뎅이209

위장 운동 촉진제 ?? 는 어떠한 것들이 잇는지요 ?

성별
남성
나이대
43
기저질환
기능성 만성 소화불량
복용중인 약
없음

소화효소제와 위장운동 촉진약은 식전에 드셔도 상관없습니다. 훼스탈같은 소화효소제는 음식을 소화시키는 효소이므로 식사와함께 식후에 드시라 하는것이고, 위장운동촉진약은 식전빈속에 먹어서 위장운동을 잘하게 한뒤 식사를 하시는 것이 최상의 효과를 볼수 있다는 것 참고하세요~

==> 여기 어떤 약사님이 저렇게 답변주셨는데,...

저는, 처음에 위장운동촉진제....이런 건 전혀 관심없었고, 오직, 위산만 잘 나오면 소화가 잘 될 줄 알았는데, 위산만으로는 한계가 있더라구요. 그래서 말인데요..... 약사님들께서 추천하시는 위장운동 촉진제는, 어떠어떠한 것들이 잇는지? 대표적으로 몇가지만 알려주세요..

제가 소화가 잘 안 되는 게 위산저하 뿐만 아니라, 위장운동도 사실상 거의은 안 하는 게 ...맞다고 혼자 많이 생각하거든요...

제 몸을 공부해보니, 제가 위하수,위무력증까지 잇어서 더더욱 그렇다고 생각되어서요

술은 전혀 안 마시는데도, 아랫배가 축 처진거 보고요.. 게다가 체증,체끼,식적도 많이 잇어서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윤기 약사입니다.

      소화불량이란 흔히 우리가 밥을 먹고 나서 느끼는 상복부의 불편한 느낌들, 예를 들면 답답하고 더부룩하고 체한 듯하다, 배가 빵빵하다(팽만감), 트림이 많다, 배가 쉽게 고프지 않는다(무 공복감), 많이 먹지 않아도 빨리 배가 부르다(조기포만감), 명치부근이 쓰리거나 아프다 등의 증상들을 말하는 것이고 대개는 위장에 문제가 있다고 생각을 합니다.

      위와 같은 증상이 있을 때, 위장운동 촉진제 혹은 위장운동조절제(트리메부틴)를 복용하시는 것을 권장합니다.

    • 안녕하세요. 양은중 약사입니다.

      위의 상태가 어떤지를 먼저 아셔야합니다.

      위염기가 있으셔서 소화가 안된다고 느끼시는 분들도 있고

      저산증이 있으셔서 소화가 안되시는 분도 있습니다.

      고기 같은 것을 먹었을 때에 소화가 잘 안된다면 저산증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 안녕하세요. 심주영 약사입니다.

      위장운동촉진제는 돔페리돈, 트리메부틴이 있고 소화가 안될때 복용하면 위운동을 촉진시켜서 위장에 얹힌 음식물을 빠르게 내려보내줍니다. 소화제와 같이 드시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병도 약사입니다.

      위장관 운동을 조절하고, 경련을 완화시킴으로써 소화기능 이상으로 인한 각종 증상을 완화시켜주는 약

      성분인 아래 제제를 드세요

      ------------------------------------------------------------

      Trimebutine Maleate 트리메부틴말레산염 100mg

      성분 별 약효

      Trimebutine Maleate : 소화기계질환 > 위장관 운동 조절제 > 항콜린제

      효능

      1. 주효능 효과
      1) 식도역류 및 열공헤르니아, 위 십이지장염, 위 십이지장궤양에 있어서의 소화기능이상 (복통, 소화불량,구역, 구토)
      2) 과민성대장증후군 및 경련성 결장
      3) 소아 질환 : 습관성 구토, 비감염성 장관통과장애 (변비, 설사)

      용법

      성인 : 말레인산트리메부틴으로서 1회 100-200mg 1일 3회 식전에 경구투여한다.
      연령, 증상에 따라 적절히 증감한다.

    • 안녕하세요. 최성모 약사입니다.

      소화가 안되는 이유는 다양하니 그 이유에 대해선 병원가서 검사를 받아보셔야 합니다.

      위장운동촉진제에 대해 답변드리자면 대부분은 전문의약품이라 약국에서 처방전없이 구입할수 있는건 많지 않습니다.

      그나마 메부라틴, 트리부틴 이런약들이 위장운동을 도와준다고 볼 수는 있겠네요.

    • 안녕하세요. 김수재 약사입니다.

      1. 위장운동조절제는 대표적으로 트리메부틴이 있습니다. 트리메부틴은 위장운동저하 되었을 때는 위장운동을 빠르게 해주고, 위장운동이 너무 빠를 때는 위장운동을 느리게 해주는 약입니다. 설사/변비 증상에도 효과가 있고 소화불량/속쓰림/구토에도 효과가 있습니다. 그래서 일반적으로 위장운동조절제에는 트리메부틴과 같은 약을 먹게 됩니다.

      2. 소화가 잘 되지 않는 경우 펩신과 같은 소화효소제 정도 구매해서 영양제 드시듯 드셔보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조영지 약사입니다.

      위장운동촉진제는 위장의 운동 능력을 촉진시켜 음식물의 이동 및 배출을 도와 음식물의 배출 장애로 생기는 증상을 개선하는 약물이다. 위장관의 수축 횟수나 강도를 증가시켜 위장의 운동성을 증가시켜 복부불편감, 변비, 더부룩함, 오심, 구토 등의 위장관 증상을 개선한다. 과민성 장 증후군, 위염, 위식도 역류질환, 위마비, 기능성 소화불량, 장폐색 등 다양한 질환에서 사용된다. 도파민 수용체 저해제, 5HT4 작용제와 기타 약물 등이 사용된다. 각각 약리 작용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도파민 수용체 저해제
      도파민은 뇌의 신경전달물질로 다양한 작용을 나타내는데 부교감신경 말단에서는 아세틸콜린*의 분비를 억제하여 위장 운동을 전반적으로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그러므로 도파민 수용체 저해제는 위장관의 평활근†에서 아세틸콜린의 분비를 증가시켜 위장운동을 촉진하여 위 배출능력을 향상시킨다.
       
      5-HT4 작용제
      5-HT는 세로토닌이라고 불리는 신경전달물질로 약 5% 정도는 뇌에 존재하며 나머지 95%는 소화관에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5-HT1, 5-HT2, 5-HT3, 5-HT4 등 여러 종류가 있으며 각각 다양한 생리활성을 나타낸다. 특히 5-HT3, 5-HT4 수용체가 장의 운동 및 감각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5-HT4 수용체 작용제는 아세틸콜린의 분비를 증가시켜 위장 평활근의 수축력을 증가시킴으로 위장운동이 촉진된다.

      출처 : (약학용어사전)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 안녕하세요. 이세라 약사입니다.

      위장운동조절제의 경우 트리메부틴이 가장 안전하고 일반적으로 사용됩니다. 다만 모든 위장운동조절제의 경우 장기간 남용하는 경우 오히려 위의 자연스러운 운동능력이 저하되어 만성 소화불량 또는 위염 증상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현재는 양질의 보장균수 100억 이상의 프로바이오틱스 보급이 시급해 보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병열 약사입니다.

      위장운동촉진제는 트리메부틴 알약, 돔페리돈 물약으로 구할 수 있습니다. 트리메부틴은 장기간 복용해도 안전하므로 매 끼니마다 챙겨드셔도 상관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송정은 약사입니다.

      위장운동촉진제로 일반의약품으로 구매가능한 성분으로는 트리메부틴 성분이 있으며 전문의약품으로는 모사프리드 이토프리드 등 성분의 약이 있습니다. 전문의약품의 경우에는 반드시 의사의 처방하에 약 복용이 필요로 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민석 약사입니다.

      일반의약품중에는 돔페리돈, 트리메부틴이라는 성분이 있습니다. 전문의약품에는 더 여러가지가 있구요.

      소화가 안된다면 트리메부틴과 소화제를 매 끼니마다 챙겨드셔도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