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용어 중에 PER이랑 PBR은 무슨 뜻인가요?
안녕하세요. 주식을 이제 시작하는 30대 초반 직장인 여성입니다. 주식 용어 중에 PER PBR이 있는데 이 둘은 무슨 뜻인가요?
안녕하세요. 소재남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PER는 주가수익률이라고 하며 주당 시장가격(현재주가)를 주당순이익으로 나눈 수치입니다.
PBR은 주가장부가치비율이라고 하며 주당 시장가격(현재주가)를 주당장부가치로 나눈 수치입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PER은 주가수익비율로 주가를 주당순이익으로 나눈 주가의 수익성 지표이며
PBR은 주가순자산비율로 주가를 주당순자산가치로 나눈 값을 말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PBR이라고 하는 것은 주가와 1주당 순자산을 비교하여 나타낸 비율(PBR = 주가 / 주당 순자산가치)을 말해요.
그리고 PER라고 하는 것은 주가수익비율(Price earning ratio, PER)은 주가가 그 회사 1주당 수익의 몇 배가 되는가를 나타내는 지표로 주가를 1주당 순이익(EPS: 당기순이익을 주식수로 나눈 값)으로 계산해서 산출해요
안녕하세요. 손현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1. PER(Price-Earnings Ratio)
주가수익비율이라고도 불립니다.
주가가 1주당 순이익의 몇 배인지를 나타냅니다.
PER이 낮을수록 기업의 수익에 비해 주가가 저평가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PER이 높을수록 기업의 수익에 비해 주가가 고평가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같은 산업 내 기업들의 PER을 비교하면 유용합니다.
PER 계산 공식: PER = 주가 / 1주당 순이익
2. PBR(Price-Book Value Ratio)
주가순자산비율이라고도 불립니다.
주가가 1주당 순자산의 몇 배인지를 나타냅니다.
PBR이 낮을수록 기업의 자산 가치에 비해 주가가 저평가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PBR이 높을수록 기업의 자산 가치에 비해 주가가 고평가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유사한 사업 모델을 가진 기업들의 PBR을 비교하면 유용합니다.
PBR 계산 공식: PBR = 주가 / 1주당 순자산
3. PER과 PBR의 비교
PER은 기업의 수익성을, PBR은 기업의 자산 가치를 평가하는 지표입니다. 따라서 두 지표를 함께 활용하면 기업의 가치를 보다 다각적으로 분석할 수 있습니다.
PER과 PBR의 상관관계: 일반적으로 PER과 PBR은 음의 상관관계를 가짐. PER이 높으면 PBR은 낮고, PER이 낮으면 PBR은 높음.
투자 전략:
성장 가능성이 높은 기업 투자: PER 우선 고려
저평가된 기업 투자: PBR 우선 고려
요정도 참고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이동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PER이란 Price Earning Ratio를 의미하며 이는 주가수익비울을 말합니다. 기업의 시가총액을 한 해 벌어들인 수익으로 나눈 값입니다.
PBR이란 Price to Book Ratio를 의미하며, 이는 주가순자산비율을 말합니다. 주가를 주당순자산으로 나눈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