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 온난화로 인해 산호는 어떤 피해를 입고 있나요?
안녕하세요
산호초는 다양한 해양 생물이 서식하는 중요한 환경인데요 지구 온난화로 인해 산호가 어떤 피해를 입고 있으며 이를 막기 위한 노력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박정철 전문가입니다.
산호초는 수많은 해양 생물이 서식하는 매우 중요한 생태계입니다. 그러나 지구 온난화로 인한 해수 온도 상승은 산호 백화 현상의 가장 큰 원인입니다. 산호는 몸속 공생 조류(주산셀라)에게 영양분을 공급받고 색깔을 얻는데, 수온이 높아지면 산호가 스트레스를 받아 조류를 내보내 하얗게 변하고 결국 죽게 됩니다. 또한, 대기 중 이산화탄소가 바다에 흡수되면서 해양이 산성화되면 산호 골격 형성이 어려워져 산호가 약해집니다.
이러한 피해를 막기 위해서는 지구 온난화의 근본 원인인 온실가스 배출량을 전 지구적으로 감축하여 해수 온도 상승과 산성화를 늦춰야 합니다. 그리, 산호초 서식지를 해양 보호 구역으로 지정하고 육상 오염원 유입을 줄이며 지속 가능한 어업을 실천하는 등 지역적인 보호 노력을 강화해야 합니다. 더불어 훼손된 산호초를 복원하고 고수온에 강한 산호를 연구하는 등의 활동도 중요합니다.
안녕하세요. 조일현 전문가입니다.
산호에는 미세 조류인 갈충조류와 상호 작용을 하면 살아갑니다.
하지만 해수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갈충조류는 산호에게 떨어지게 되며,
이를 통해 산호는 색깔히 하얗게 변하는 백화 현상을 띄게 됩니다.
산호에게 갈충 조류는 주요 에너지 공급원 이기에 지구온난화가 지속된다면 산호는 죽게 됩니다.
이를 막기위해서는 화석연료 사용을 줄이고 재생에너지를 확대하며, 산호 서식지를 보호 구역으로 지정하여
환경보호와 더불어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됩니다.
안녕하세요. 황성원 전문가입니다.
지속적인 지구 온난화로 인해 바닷물 온도가 상승하면 산호는 공생 관계에 있는 조류를 방출합니다. 이 조류는 산호에게
영양을 공급하고 색을 주기 때문에 방출되면 산호는 흰색으로 변하고 영양 공급이 차단되어 결국 죽게 됩니다.
따라서 고온에서도 생존 가능한 내열성 산호 품종을 찾아 보급하려는 연구가 진행 중이지만 근본적으로 지구 온난화를
막기위한 글로벌 탄소 감축 노력이 필요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
지구 온난화로 지구 전체 바다의 온도가 올라가게 되면서 산호초가 죽어가고 있습니다. 이를 백화현상이라고 하는데요 산호가 죽으면 하얗게 변하기 때문이 이런 이름이 붙었습니다.
해수면의 온도가 21도 인데 1900년도에는 19.5도 였습니다. 매년 수온이 올라감에 따라 산호가 사멸하고 있습니다. 이를 막기 위해서 온실효과를 유발하는 이산화탄소 배출을 줄여야 하겠지만 참 쉽지 않기에 안타깝게도 시간이 지날수록 산호의 사멸속도 및 사멸량을 늘어날 예정입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