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한국은행은 물가안정에 중점을 둔다면서 기준금리 인상을 부각시키려고 할까요?
안녕하세요
왜 한국은행은 물가안정에 중점을 둔다면서 기준금리 인상을 부각시키려고 할까요?? 계속된 물가 안정의 부각을 위해 지속적인 기준금리 인상여부를 뉴스나 여론에 알리며 위협을 주듯이 계속 말하더라구요. 왜그런걸까요?
안녕하세요. 이예슬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기준금리를 올린다는 것 자체가 기대인플레이션을 떨어뜨려 결국에는 실제 물가상승을 압박하여 물가상승을 억제할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금리인상에 대한 시그널을 계속 주면서 물가안정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국의 금리 정책을 보면 답이 나옵니다. 미연준은 올해 8% 이상 치솓았던 물가를 제어하기 위해서 금리를 급격히 인상했습니다. 한국의 경우 미국 기준 금리를 벤치마크로 사용하고 미국 금리 추이를 어느 정도 추종하지 않으면 환율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에 금리를 올릴 수 밖에 없습니다. 금리 인상은 가처분 소득을 줄이게 됩니다. 소비를 줄여 물가 상승을 억제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정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기준금리 변경은 일반의 기대인플레이션 변화를 통해서도 물가에 영향을 미칩니다. 예를 들어 기준금리 인상은 한국은행이 물가상승률을 낮추기 위한 조치를 취한다는 의미로 해석되어 기대인플레이션을 하락시킵니다. 기대인플레이션은 기업의 제품가격 및 임금근로자의 임금 결정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결국 실제 물가상승률을 하락시키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질문자님께서 한국은행의 행동에 대해서 정확하게 잘 집어주셨습니다.
한국은행이 이렇게 계속 언론에 노출되어서 금리가 3.5%가 아니라 더 높아질수도 있다라고 이야기하는 것을 보실 수 있는데 이는 한국은행의 언론플레이로 향후 미국과의 기준금리 격차가 더욱 좁혀질 수 있다는 기대심리를 만들게 하는 것입니다. 만약에 한국은행 총재가 지난 11월처럼 3.5%라는 이야기를 한 후에 다시는 금리에 대해서 이야기하지 않으면 시장의 기대심리는 3.5%에 고정되어 있어서 미국과의 기준금리 격차를 3.5%를 가지고 하게 됩니다. 그럼 환율의 하락폭은 일정하지만 큰폭의 하락이 이루어지기는 힘들게 됩니다.
그런데 한국은행이 언론에 나와서 3.5%보다 더 높일 수 있다 유동적인 것이다라는 제스쳐를 취하게 됨으로써 미국과의 기준금리 격차가 더욱 좁혀지게 된다는 기대심리를 부추기게 되었고 이로 인해서 4일정도로 보면 환율이 50원정도 추가적으로 내려가는 소기의 성과를 달성했다고 보시면 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안녕하세요. 추보영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
기준금리가 오르면 기존대출을 갖고 있는사람은 지출을 줄이게 됩니다
반대로 돈을 갖고 있는 사람은 금리가 좋으니까 저축을 하죠
지금 인플레이션이 와서 계란이 한판에 만원도 하잖아요
지출이 줄어야 하기 때문에 금리를 올리는 것이고
미국은 현재 물가가 8프로이기 때문에 금리를 계속 올리고
수출입연관이 큰 한국도 따라 올라는 경향도 있습니다
얼마전까지만 해도 전국에 어디 아파트 최고가 경신 10억아파트 충북10억 대구 10억 막 이렇게
뉴스 신문에서 떠들어서 많은 사람들이 이곳 아하만 해도 부동산 사야하나요? 더 오를거같은데?
하며 많은 문의가 있었습니다
저는 그때마다 금리가 현재 0이고 부동산가격이 많이 오른 상태이기 때문에
금리는 다시 올라갈거고 부동산은 떨어질거니까 사지말라고 계속 답변을 했습니다
그게 불과 작년의 일입니다
하지만 언론에서는 계속적으로 부채질을 했고요 결과적으로 지금처럼 되었습니다
또한 국민연금재원 재정이 고갈될거다 라던가
문재인케어라고 병원비지원해주던것을 방만한 재정탓하며 축소폐지하겠다고 기사에 나오는데요
이것도 협박이죠
이제 사람들을 보험사에 개인보험과 연금보험을 가입하게 될것입니다
제가 10년전에 보험영업할때도 같은 방식으로 연금보험을 판매했습니다
보험사는 대기업이고 낙수효과를 좋아하는 보수당이 집권했기 때문에
기업활성화 시키려는 것이겠지요
사실 혜택은 그대로두고 보험료율만 올리면 됩니다
개인보험 실비는 매년 매3년 매5년마다 갱신해서 올라가는데 불만이 없습니다
그런데 혜택을 축소폐지하고 또 요율을 올린다니요?
이것이 정치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