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대출 이미지
대출경제
대출 이미지
대출경제
짙푸른숲새113
짙푸른숲새11322.12.15

금리인상하는 경우 부동산이 왜 하락되나요?

우리나라에서 요즘 금리가 인상되는데 장기전망이 계속해서 안좋다는 뉴스가 나오고 있습니다 물가상승 및 통화량 증가로 부동산 가격도 하락한다고 하는데 왜 하락한다고 예측합니까?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금리인상을 하게 되는 경우 부동산가격이 하락하는 것은 실수요자의 감소때문이라고 보시면 좋습니다.

    현재 부동산을 구입하기 위해서는 10억이 필요한데 이를 구입할 때 전액 현금을 보유하신 분들의 경우는 관계가 없으나 대다수의 사람들은 '대출'을 사용하여서 부동산을 구입하게 됩니다. 그런데 이 부동산을 구입시 6억원의 대출을 받는다고 한다면 금리가 3%인 경우와 6%의 금리가 되었을 경우는 다음과 같은 차이가 발생하게 됩니다.

    1. 금리가 3%, 만기 30년인 경우 : 매월 원리금상환금액 3,166,667원

    2.금리가 6%, 만기 30년인 경우 : 매월 원리금상환금액 4,666,667원

    위의 내용을 보시게 되면 금리가 상승하게 되면서 상환금액이 150만원이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일반적인 기업에 재직중이라면 월 소득 6백만원을 가정한다면 매월 320만원의 상환액은 부담은 되지만 감당은 가능합니다. 하지만 470만원이 된다면 다른 생활비를 고려시 감당자체가 되지 않기 때문에 6억원의 대출을 받지 못하게 되고 결국 10억원의 집은 구입하지 못하게 되는 것입니다.

    그래서 집 가격이 하락하여 대출을 받아야 하는 금액이 감소하고 이 대출금액에 대한 매월 상환금액이 소득에 비례해서 상환가능의 한도에 도달할 때까지는 부동산이 가격이 하락할 수 밖에 없는 것입니다. 즉 부동산에 대한 수요가 발생하기 위해서는 '금리가 하락하거나' 혹은 '대출금액을 적게 받거나', '부동산 가격이 하락하거나'의 3가지 선택지가 있는 것입니다. 그런데 첫번째와 두번째는 지금 성립하기 힘드니 결국 3번째인 부동산 가격의 하락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는 것입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추천 한번 부탁드릴게요. 오늘도 좋은 하루 되세요!


  •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급격한 금리의 상승은 부동산을 대출 받아 매입한 사람들에게 대출금의 이자 부담 상승으로 치명적입니다. 더욱이 우리나라와 같이 변동 금리로 대출을 받은 분들에게 금리 상승에 따른 이자 부담이 더 커지게 됩니다. 그리고 금리의 상승은 부동산을 사려는 수요를 감소 시킵니다. 금리 상승에 따른 이자 부담이 그 원인이라 하겠습니다.

    얼마 전까지만 해도 부동산을 매입해도 대출이자를 월 100만 원 납부했는데 지금은 거의 170만 원을 납부하게 된다면 당연히 부동산 매입을 망설이지 않을까요?

    그리고 참고로 금리의 상승은 경기를 둔화시키고 통화량을 감소시킵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부동산과 같은 경우에는 투자되는 자본의 규모가 커

    대출 등을 필연적으로 받는 경우가 많고 금리가 올라간다면

    대출에 대한 부담감이 커져 사람들이 부동산 매물을 내놓고 수요가 줄어듬에 따라서

    가격이 하락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일반적으로 부동산 구매는 대출을 이용하거나 전세 세입자분들도

    대출 상품을 사용하기 때문에 금리가 인상되면 이자 부담이 증가해서

    부동산 매매나 세입자 구하기가 힘들어지죠 ~ 그러면 침체되고

    팔려는 사람은 많은데 살려는 사람이 없어서 부동산 가격이 하락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금리 인상과 금리 인상 기조는 부동산 뿐 아니라 주식 시장 등에도 부정적입니다. 현재 고물가, 고환율, 고금리 상황이라 시중에 통화량은 증가하지 않고 있습니다. 높은 금리는 시중에 유동성을 예적금이나 안정적인 국공채 등으로 몰리게 하고 높은 금리 수준이 상당기간 유지될 것이라는 전망이 있으면 역시 부동산 시장에 부정적입니다.

    부동산 시장은 기본적으로 풍부한 유동성을 기반으로 많은 거래량이 있을 때 시장이 활성화 됩니다. 그러나 높은 금리 수준에서는 자금 조달 비용이 증가하고 부동산 거래량이 증가할 수 없습니다. 또한 한국 부동산 시장의 특성 상 건설사들의 자금 조달 비용이 증가하고 시장 불확실성으로 분양과 재건축 시장이 여의치 않습니다. 역시 부동산 시장을 어렵게 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12.15

    안녕하세요. 이정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금리와 부동산가격은 대체로 역의 상관관계가 있습니다. 부동산 시장상황에 따라서 다르긴 하지만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인상하면 시중은행들도 따라서 대출금리를 올립니다. 그러면 대출을 받아 부동산을 구입하는 사람의 부담이 늘어나기 때문에 부동산에 대한 사람들의 수요가 줄고, 부동산 가격은 하락하게 됩니다. 반대로 이자율이 하락하면 사람들이 대출을 늘려 부동산을 구입하려 하기 때문에 부동산에 대한 사람들의 수요가 늘고, 부동산가격은 상승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