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동향

나혼자산낙지
나혼자산낙지

IMF가 예측한 2026년 경제 반등 전망은 현실성이있나요 ?

IMF가 2025년한국 경제는 다소 부진하겠지만 2026년반등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놨습니다. 이 예측이 현실성이있을지, 어떤 리스크가 걸림돌이 될지 궁금합니다.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IMF는 한국 경제가 2025년까지는 다소 부진하더라도 26년에는 수출 회복과 물가 안정으로 반등할 것이라 내다 봤습니다. 하지만 고금리와 인구구조변화, 중국 경기 둔화 같은 리스크가 변수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IMF 예측하고 있는 2026년의 경제 반등에 대한 내용입니다.

    현 시점에서 보자면 2026년 경제 반등은 어려울 것으로 보여집니다.

    미국과 중국의 관계를 전망하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최근까지 부정적인 평가를 내렸던 이유는 현재 한국의 경제성장의 핵심근거는 수출기여도 뿐입니다. 내수부문도 크게 기대할수없고 특히 제조업공동화현상으로 국내의 직접투자는 내년도에도 기대하기 어렵고 외국기업의 직접투자도 기대하기 힘든환경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현재는 국내의 내수와 투자의 기여가 아니라 수출이 핵심이며 문제는 미국의 관세에 대한 우려로 이 수출에 대한 불확실성이 가장 컸습니다. 그런데 하반기에 메모리 반도체의 재고가 급격히 감소하면서 현물가격이 급등하고 있고 기존의 메모리의 투자가 거의 없다보니 내년도에 낸드플래시나 범용메모리쪽의 CAPA투자가 크게 기대가 되고 있는환경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반도체사업의 업사이클이 본격화 되고 있고 HBM4도 오히려 가격이 떨어지지않고 더 높은 가격으로 판매가 가능하기 때문에 이부분에 대한 수출기여가 여전히 기대가 되면서 이부분에 대한 상향평가를 IMF쪽에서 근거로 제시한것으로 보입니다.

    거기다가 2026년에 걸쳐 주요국 중앙은행들의 금리 인하가 예상되고 있으며 내년도에도 국내정부의 본격적인 재정지출 확대가 진행중이므로 재정에 대한 기여 성장도가 예상되면서 내년도에 경제가 반등할 근거로 보고 있는 상황입니다.

  •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예측은 항상 맞는 부분이 아닌거같습미다. 이러한 예측은 러-우 종전으로 안한 재건으로 경제 반등이 될것이라고 예측한것 같은데 현실은 종전협상을 하지도 않고 있어 이러한 부분은 현실과 동떨어진 부붙이라고 생각합니다. 따라서 이러한 것은 지켜보면서 대응해야합미다.

  •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최근 IMF는 내년 2026년 한국 경제가 저성장 국면에서 벗어나 1.8%의 실질 성장율(물가상승률 제외 성장율)을 달성할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이는 올해 0.9% 내외의 성장율에서 거의 1% 정도 성장하는 것으로 재정&통화 정책 완화, 경기 기저효과, 반도체 등 주력 수출품목 수출 호조, 내수 경기 진작 등에 기인합니다.

    세계 경제는 2026년 3.1% 성장 예상했고 한국은 선진국과 중국 대비 경제 회복세가 양호할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그러나 해당 경제 성장율은 최근 몇 년간 저성장 기조의 일종의 기술적 반등일 수 있어서 서비스&혁신 산업 중심의 성장 전략 강화, 재정 건전성 확보, 연금&재정 개혁 추진 등이 향후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 필요합니다.

    내년 1.8% 경제 성장은 정황상 충분히 가능한 수치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전문가입니다.

    반등이라고 하기엔 너무 가라앉은 상태에서 올라오니까 반등이라고 보여질 것입니다.

    예를들면 100만큼 하락했는데 20이 올라오면 반등한 것이라고 볼 수 있으니까요.

    실제로 그럴 가능성이 높은 것이 현재 부동산 규제와 내수 부진으로 가라앉고 있는데요.

    그래서 세수부족으로 경제 상황이 매우 안 좋은데요.

    여기서 반등 구조는 법제화를 통해 세수를 더 걷으면서 규제를 풀 가능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현재 담배를 비롯하여 연금개혁, 각종 세금 등을 올릴려고 발의된 내용이 많으며 이미 각 소관위까지 통과된 것들도 많습니다. 그러면 현재 야당이 약하면 거의 통과라고 보기 때문에 내년이면 통과되어 시행할 것이며 세금이 높아지면서

    그 돈을 풀면서 현재 규제도 풀어 경제 회복을 꾀할 것입니다.

    그래야 지지율도 오르니까요.

    정치는 이런식으로 굴러가기에 가능성은 있습니다만 여기서 문제는 미국의 방향입니다.

    현재 굉장히 위험한 수준인데 조정없이 이대로 연말까지 간다면 더 큰 버블이 올 것이고 관세부메랑과 셧다운으로 인하여 점차 버티질 못할 것입니다.

    타이밍상 한국의 경기회복과 맞닿으면 오히려 회복은 커녕 더 가라앉을 수도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IMF가 2025년에 한국 경제가 잠시 둔화되겠지만 2026년에는 불확실성 감소와 완화적인 통화 및 재정 정책에 힘입어 1.8% 수준으로 반등할 것으로 전망한 것은 충분히 현실성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OECD나 현대경제연구원 같은 다른 기관들도 한국 경제가 2026년에 긍정적으로 회복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습니다. 다만, 2026년 한국 경제의 가장 큰 리스크로는 글로벌 금리 및 경기 침체 및 미중 무역 갈등 장기화 같은 대외 불확실성들이 존재합니다.